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트럼프 지지율, 공화당·남성층 등에 업고 45%…흑인·히스패닉도 상승세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트럼프 지지율, 공화당·남성층 등에 업고 45%…흑인·히스패닉도 상승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갤럽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갤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이후 공화당 지지층과 남성 유권자들의 강한 지지를 바탕으로 지지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흑인과 히스패닉, 젊은층의 지지율도 이전보다 오르면서 전반적인 지지율 상승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글로벌 여론조사업체 갤럽이 30일(현지시각)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1~3월 사이 실시된 세 차례 조사에서 평균 45%의 직무 수행 지지율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7년 첫 임기 초반 같은 시기의 평균 지지율 42%보다 소폭 상승한 수준이다.

이번 결과는 갤럽이 지난 1월, 2월, 3월에 걸쳐 세 차례 실시한 정기 여론조사 데이터를 종합한 것이다. 최근 조사인 3월 조사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43%를 기록했다. 이는 2월의 45%보다는 다소 낮지만 1월 취임 직후 기록한 47%보다는 하락한 수치다.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 상승은 주로 공화당원(5%포인트 상승), 보수주의자(7%포인트 상승), 남성(6%포인트 상승)층에서 두드러졌다. 특히 흑인 유권자(9%포인트 상승), 히스패닉 유권자(15%포인트 상승), 18~29세 청년층(6%포인트 상승)에서도 지지율이 상승했다.

갤럽은 이같은 변화가 “이들 집단에서 공화당 지지 또는 성향이 증가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은 남성(54%), 비히스패닉 백인(51%), 고소득층, 남부 지역 주민, 기혼자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민주당 지지층, 진보 성향 유권자, 여성, 흑인, 젊은층, 저소득층 등에서는 여전히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갤럽은 “트럼프 대통령의 전반적 지지율은 여전히 2020년 초, 첫 번째 탄핵 무죄 판결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초기 대응 시기(평균 지지율 47%)보다는 낮은 수준”이라며 “특히 당시에는 백인(57%), 고령층(51%), 무당파(42%), 여성(42%) 등의 지지율이 현재보다 높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흑인 유권자들의 경우 현재 지지율(16%)이 당시보다 높아졌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별 지지율은 여전히 낮은 편이다. 갤럽이 3월 조사에서 제시한 8개 정책 분야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항목은 에너지 정책으로 45%가 긍정 평가했고 47%는 부정 평가했다. 그 외에도 대러시아 외교(39%), 경제(41%), 외교 전반(41%), 환경(41%), 우크라이나 사태(41%), 연방예산(43%), 언론과의 관계(44%) 등 모든 분야에서 과반의 부정 평가가 나왔다.

정책별 지지율은 지지 정당에 따라 극명하게 갈렸다. 공화당 지지층의 83~90%는 각 정책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한 반면, 민주당 지지층 중에서는 어떤 항목에서도 6% 이상이 지지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없었다. 무당파 유권자들은 각 정책에 대해 32~41%가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호불호는 극단적으로 나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갤럽이 실시한 ‘지지 또는 반대의 강도’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32%는 ‘강하게 지지’, 46%는 ‘강하게 반대’한다고 답했다. 나머지는 ‘보통’ 수준의 지지 또는 반대였다.

정당별로는 공화당 지지자의 78%가 트럼프 대통령을 ‘강하게 지지’한다고 답한 반면, 민주당 지지자의 91%는 ‘강하게 반대’한다고 응답했다. 무당파 중에서는 46%가 ‘강하게 반대’, 20%가 ‘강하게 지지’라고 답했다.

갤럽은 “응답자의 78%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강한 의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1991년 걸프전 이후 조지 H.W. 부시 당시 대통령(79%)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