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타깃, 월마트·코스트코 뒤이어 中 공급업체에 관세 비용 전가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타깃, 월마트·코스트코 뒤이어 中 공급업체에 관세 비용 전가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 있는 타깃 매장.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 있는 타깃 매장. 사진=로이터


미국 굴지의 유통업체 타깃이 중국 제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 인상에 대응해 자사 공급업체에 일부 비용을 떠넘기고 있다고 온라인 매체 쿼츠가 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는 앞서 코스트코와 월마트 등 미국의 내로라하는 대형 유통업체들이 취한 조치와 유사한 방식이다.
쿼츠에 따르면 타깃은 중국 내 일부 공급업체에게 관세 비용의 절반을 부담하라고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헤어핀과 클로클립을 납품하던 한 중국 공급업체는 타깃 측이 관세 절반 부담을 요청했으며 협상을 시도했지만 주문 지연이 발생한 끝에 결국 거래가 중단됐다고 밝혔다. 타깃은 쿼츠의 여러 차례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미국은 이날부터 중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을 20%로 인상할 예정이며 이는 약 4300억달러(약 633조원)에 이르는 수입품에 영향을 미친다.

타깃은 중국 본토에 오프라인 매장을 두고 있지 않지만 최근 몇 년간 중국산 제품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전체 수입 중 중국산 비중을 과거 60%에서 현재 30%까지 줄였다고 설명했다.

비슷한 방식으로 코스트코는 현재 중국에 7개 매장만을 운영 중인 반면, 월마트는 330개 이상의 중국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월마트는 중국 당국으로부터 ‘불공정하고 무책임한 전략’을 쓴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브라이언 코넬 타깃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관세 인상으로 인해 바나나, 아보카도, 딸기 등 신선 농산물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코넬 CEO는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고 소비자 가격 급등을 막기 위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고 있다”고 밝혔다.

타깃은 현재 관세 외에도 소비 둔화와 인플레이션 압박으로 인한 실적 부진을 겪고 있다. 최근 타깃은 본사 직원들의 성과급을 삭감했으며 지난 3월 실적 발표에서는 “소비자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또한 다양성·형평성·포용(DEI) 정책 축소 이후 발길이 줄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타깃의 이같은 조치는 일부 소비자들의 반발을 불러왔으며 플로리다주 정부 및 주주들로부터 소송이 제기됐고 40일간의 불매운동으로까지 이어졌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