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가 미국의 자동차 관세에 맞불관세로 대응하고 나섰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3일(현지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부과한 25% 자동차 관세에 대응, 미국산 자동차에 25% 맞불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그는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미국 시민들에게 미칠 충격에 비춰볼 때 미 행정부는 결국 정책을 바꿔야 하겠지만, 그렇다고 내가 잘못된 희망을 주길 원하진 않는다"라며 이번 맞불 관세안을 결정한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서 카니 총리는 "미국은 지난 80년간 글로벌 경제 리더십을 발휘해왔고, 이 기간 미국은 신뢰와 상호존중에 근거한 동맹을 강화하면서 자유롭고 개방된 무역을 옹호했다"며 "이제 그 시기는 끝났다"라고 말했다.
앞서 부과한 캐나다의 맞불 관세 조치 역시 그대로 유지한다고 카니 총리는 밝혔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적용 상품은 관세 적용을 유예한 것과 마찬가지로 캐나다 역시 USMCA 적용 상품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에 따라 자동차 부품 역시 신규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이날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는 제외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으로 유입되는 합성마약 펜타닐 밀매와 불법 이민자 등으로 인한 문제에 캐나다와 멕시코가 충분히 대응하지 않았다면서 양국을 상대로 25% 관세 부과를 발표했다.
다만, USMCA 준수 상품에 대해선 관세 적용 면제 조치를 유지하는 상황이다.
또 트럼프 행정부는 3일 오전 0시 1분부터 미국 이외에서 생산된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예외 없이 부과하기 시작했으며, 엔진 등 주요 부품에 대해서는 늦어도 내달 3일 이전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이로 인해 캐나다와 멕시코 등 인접국가 뿐만 아니라 한국과 일본 등 미국 시장에 자동차를 수출하고 있는 국가들이 대응책 고심에 들어간 상태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