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테슬라, 사이버트럭 ‘부실 리콜’ 논란…10만달러 차량에 용접자국·패널 틈 남겨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테슬라, 사이버트럭 ‘부실 리콜’ 논란…10만달러 차량에 용접자국·패널 틈 남겨

리콜 수리를 했지만 용접자국과 패널의 틈이 남은 사이버트럭. 사진=일렉트렉이미지 확대보기
리콜 수리를 했지만 용접자국과 패널의 틈이 남은 사이버트럭. 사진=일렉트렉
테슬라의 전기 픽업트럭 사이버트럭에 대한 리콜 조치가 부실하게 이뤄졌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리콜에 따른 수리 이후에도 차량 외관에 용접 흔적과 패널 간 틈이 그대로 남는 등 품질 논란이 불거지며 10만 달러(약 1억4400만 원) 안팎의 고가 차량으로서 납득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4일(현지시각) 미국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에 따르면 최근 테슬라는 ‘캐인트레일(cantrail)’ 부품 결함으로 인해 생산된 모든 사이버트럭을 리콜한 바 있다.

캐인트레일은 루프 가장자리를 덮는 장식용 트림으로 일부 차량에서 해당 부품이 주행 중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같은 문제로 테슬라는 지난달부터 사이버트럭 인도 자체를 잠정 중단한 바 있다.
문제는 이 결함에 대한 테슬라의 수리 방식이 지나치게 단순하고 조악하다는 데 있다. 일렉트렉에 따르면 테슬라 서비스센터는 해당 부품을 제거한 뒤 부틸 패치를 부착하고 새 너트 2개로 다시 고정하는 방식으로 수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수리 사례에서는 너트 부위에 용접 자국처럼 보이는 갈색 흔적이 남았고 패널 사이에 눈에 띄는 틈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저지주에 거주하는 한 사이버트럭 차주는 ‘사이버트럭 오너스 클럽’을 통해 수리 후 차량 상태를 공유했다. 이 차주는 “이미 텐트 시스템 장착 문제로 차량을 서비스센터에 맡긴 상태였고, 리콜 조치까지 함께 받았지만 반환된 차량의 외관 상태는 실망스러웠다”고 밝혔다. 그는 캐인트레일 부위에 명확한 흔적이 남아 있었고 섀시와의 이음 부분에는 뚜렷한 패널 틈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일렉트렉에 따르면 테슬라가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제출한 리콜 보고서에는 “트림 패널에 스터드(돌출 고정핀)를 용접하는 방식으로 개선 조치를 시행한다”고 명시돼 있다.

특히 사이버트럭에 별도 랩핑 필름을 부착한 고객들의 경우 트림 재설치로 인해 재시공이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테슬라는 관련 비용을 보상하지 않고 있어 불만이 확산되고 있다.

일렉트렉은 “사이버트럭 구매자는 대체로 신기술에 관대한 초기 수용자들이지만 8만~10만 달러(약 1억1500만~1억4000만 원)에 달하는 차량에서 이런 품질 문제는 용납되기 어렵다”며 “결함 해결을 명분으로 또 다른 외관 결함을 남기는 조치는 정상적인 대응으로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