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국 의회 암호화폐 육성법 "무더기 통과" 루미스 전략비축

글로벌이코노믹

미국 의회 암호화폐 육성법 "무더기 통과" 루미스 전략비축

루미스 전략비축 " 비트코인 리플 솔라나 카르노 이더리움" 코스케이프 추천= 엑스알피(XRP), 솔라나(SOL), 파이코인(PI)
미국 의회/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의회/사진=로이터
미국 의회에 상정되어 있는 암호화폐 육성법이 곧 무더기로 통과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루미스상원의원의 비트코인 전략비축과 스테이블코인 그리고 트럼프 전략비축등이 주목된다. 비트코인 리플 솔라나 카르노 이더리움 등 트럼프가 전략지축대상으로 지목한 5개 암호화폐는 의회의 암호화폐 육성법에 목을 걸고 있다.

14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미국 상원 은행위원장 팀 스콧(Tim Scott) 의원이 “대부분의 암호화폐 법안이 8월 이전 통과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관세폭탄으로 흔들거리던 비트코인(BTC)을 포함한 주요 코인들이 상승 반등세를 보였다. 미국 상원의 이같은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디파이(DeFi) 세금 신고 의무를 면제하는 첫 암호화폐 관련 법안에 서명한 직후 나왔다. 코인게이프는 이 같은 규제 전환기 속에서 주목할 3가지 알트코인으로 엑스알피(XRP), 솔라나(Solana, SOL), 파이코인(Pi Network, PI)을 제시했다. XRP는 미국 내 시가총액 기준 최대 알트코인으로, 기술 지표상 강한 매수세가 포착되고 있다. RSI(상대강도지수)는 63까지 상승했고, MACD(이동평균 수렴확산 지수) 역시 상승 흐름을 지지하고 있다. 주요 저항선인 2.23달러 돌파 시, 2.61달러(피보나치 161.8%)까지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상원의원 신시아 루미스(Cynthia Lummis)는 앞서 미국의 금융 미래를 보호하기 위해 ‘비트코인 법안(BITCOIN Act)’을 발의한바 있다. 법안은 비트코인을 전략적 국가 자산으로 삼아 달러 강화를 목표로 하하고 있다. 루미스 의원은 ‘비트코인 포 아메리카(Bitcoin for America)’ 포럼에서 비트코인 법안의 재도입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개정안은 기존보다 더 많은 공동 발의자를 확보했으며, 비트코인 보유 및 전략적 활용을 통해 미국의 금융 시스템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 법안은 2024년 7월 최초 도입된 이후 대폭 수정되었다. 미국 재무부 산하에 보안이 강화된 비트코인 금고를 구축하고, 1백만 BTC를 매입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 연방준비제도(Fed)와 재무부의 기존 자산(금 등)을 활용해 자금을 조달하며, 개인 비트코인 보유자의 자산 보호 조항도 포함되어 있다. 트럼프 백악관의 전략비축안에 몰수 암호화폐에만 국한된 것과는 크게 다르다 특히 정부예산으로도 비트코인을 신규 매입할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선 기간에 약속했던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의 전략 비축을 행정부에 지시했다. 투자자들의 기대와 달리 연방정부가 이미 보유한 가상화폐를 팔지 말라고 했을 뿐 가상화폐의 추가 구매를 지시하지는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워싱턴 DC 백악관 스테이트 다이닝 룸에서 열린 가상자산 서밋 행사에서 "미국을 세계 최고의 비트코인 강국이자 가상자산의 중심지로 만들겠다"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역사적인 조치를 단행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포부와는 달리 시장의 반응은 미온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 비트코인, 이더리움, 엑스알피(XRP), 솔라나, 카르다노를 전략적 비축 자산으로 포함하겠다고 밝혀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높인 바 있다. 서밋 행사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비트코인 전략 비축 행정명령과 크게 다르지 않은 발표 내용에 투자자들은 실망감을 드러냈다. 이번 행정명령은 범죄·민사 사건에서 압수된 비트코인에 한해 전략적으로 비축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미국 정부는 약 170억 달러(약 24조원) 규모의 비트코인 19만 8000개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즉, 추가적인 가상자산 매입이 아니라 이미 확보한 비트코인을 시장에 매각하지 않겠다는 내용에 그쳐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반응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의 비트코인 비축안이 시장 기대와 달리 물량 매입 방안이 포함되지 않아 시장 부양 효과는 제한적이다. 트럼프 미국 정부의 비트코인 전략 비축안은 정부가 직접 비트코인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형사 사건에서 압수한 물량을 보유하는 것에 불과하다" 물론 비트코인 비축안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가상자산 벤처캐피털 프레임워크벤처스 공동 설립자 마이클 앤더슨은 "미국 정부가 20만개의 비트코인과 기타 자산을 비축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 만으로도 의미가 있고, 중요한 것은 다른 모든 국가가 자체적으로 가상자산에 대한 비축을 검토해야 하는 압박을 받고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발표를 하면서 행정명령으로 5개 암호화폐를 국고 편입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국고편입 대상 암호화폐는 "비트코인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이더리움 등이다. 5대 가상화폐의 브랜드 네임은 XRP SOL ADA BTC ETH 이다. 미국 재무부와 연방 기관들이 자산 감사 결과를 통해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 보유 현황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XRP, 솔라나(SOL), 카르다노(ADA) 등의 보유 여부가 드러날 가능성이 있다. 이번 감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비트코인 예비자산’ 행정명령 이후의 정책적 흐름을 파악할 기회로 주목받고 있다. 암호화폐 보유 현황공개에 이어 재무부 국고 편입 대상 암호화폐도 발표한다. 그동안 뉴욕증시에서는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 보유 현황을 곧 공개하면서 엑스알피(XRP), 솔라나(SOL), 에이다(ADA) 등도 국고 편입할지 그 여부에 주목해왔다.

트럼프 행정부는 비트코인을 전략적 예비자산으로 지정했다. XRP·ADA·SOL을 포함한 알트코인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에 대해 비트코인 맥시멀리스트들의 반발이 거세지만, 정부가 이번 감사를 통해 실질적인 보유 여부와 편입 전략을 공식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에 중요한 신호가 될 수 있다. 미국 정부가 보유 중인 비트코인 규모는 약 198,012 BTC로, 시가 기준 약 160억 달러에 달한다. 이는 지난 10년간 민·형사 자산 몰수 과정을 통해 확보된 총 40만 개의 비트코인 중 일부이다. 알트코인 보유 여부는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가상 자산(가상화폐)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가상자산 전략 비축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는 가상 자산 전략 비축은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이 중심이 될 것이며 XRP(리플), SOL(솔라나), ADA(카르다노) 등도 포함된다고 전했다. 가상 자산을 전략적으로 비축하는 것은 전략적으로 중요한 에너지원인 석유를 유사시에 대비해 비축하는 것처럼 미국 정부가 범죄자들로부터 압수한 비트코인을 매각하지 않고 계속 보유하거나, 정부 예산으로 새롭게 구매해서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뉴욕증시/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뉴욕증시/사진=로이터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미국의 가상 자산 비축이, 바이든 행정부의 수년간에 걸친 부패한 공격 이후 위기에 빠진 이 산업을 상승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내가 디지털자산에 관한 행정명령을 통해 실무그룹에 가상자산 전략 비축을 추진하도록 지시한 이유"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가상자산 전략 비축에는 "XRP, SOL 그리고 ADA가 포함될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미국을 전 세계 가상자산의 수도로 만들 것임을 분명히 한다"면서 "우리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뒤이어 올린 글에서 "분명히 BTC와 ETH가 다른 가치 있는 가상자산들처럼 비축의 중심에 있을 것"이라며 "나는 또한 BTC와 ETH를 사랑한다"고 했다. 가상자산 업계에서는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비축을 통해 수익을 얻게 되면 현재 36조 달러에 달하는 미국의 국가부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고, 언젠가 세계 경제가 가상자산으로 운영될 경우 미국의 경제적 우위를 보장할 수 있다고 주장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는 가상자산에 대해 '범죄로 가득 찬 사기'라고 비판하는 등 부정적 입장을 보였지만, 재선 도전에 나선 이후엔 우호적인 태도로 바뀌었다.

미국 의회가 지급결제용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포괄적 규제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본격적인 입법 절차에 돌입했다. 지난 2월, 미국 상원과 하원에서는 각각 ‘지니어스액트(GENIUS Act of 2025)’와 ‘스테이블액트(STABLE Act of 2025)’라는 명칭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을 발의하며, 스테이블코인의 제도권 편입을 위한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두 법안은 달러에 연동된 지급결제용 스테이블코인을 규율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발행 자격과 인가 절차, 소비자 보호, 감독 체계 등 핵심적인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발행자 요건을 명확히 규정함으로써 투명성을 강화하고, 금융 시스템 전반에 대한 리스크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된 방향성을 띤다.

미국 상원에서는 공화당 소속 빌 해거티(Bill Hagerty) 의원이 지니어스액트(미국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국가 혁신 지침 및 확립법)를 대표 발의했으며, 팀 스콧, 신시아 루미스, 커스틴 질리브랜드 의원 등이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 이 법안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 일대일 비율로 준비자산 유지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지급 또는 결제를 목적으로 고정된 금전적 가치에 연동되는 디지털 자산으로 지급결제용 스테이블코인을 정의하고, 인가 절차를 통해 발행 자격을 부여하도록 규정했다.

미국 하원에서는 프렌치 힐(French Hill) 의원과 브라이언 스테일(Bryan Steil) 의원이 공동으로 스테이블액트(더 나은 원장 경제를 위한 스테이블코인 투명성 및 책임성 법안)를 발의했다. 해당 법안은 △비은행 기관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공식 허용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에 대한 감독 권한을 통화감독청(OCC)에 부여한다는 점에서 지니어스액트와 차별화된다. 이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보다는 OCC 중심의 규제 체계를 지향하는 것으로, 비은행권의 시장 참여 확대를 염두에 둔 조치로 풀이된다.

이 두 법안 모두 스테이블코인의 준비자산을 △미국 달러 △단기 국채 △은행 잔고 및 중앙은행 준비예치금과 연계된 환매조건부채권 등으로 한정하고, 장기 국채나 회사채 등 위험자산은 배제하고 있다. 다만 하원 발의안에서는 일부 항목에서 준비자산 범위에 차이를 두고 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