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된 지역 전선 제시할 것"...베트남·인도네시아 지도자와 집단 대응 논의
"관세 부과는 더 큰 도전의 시작일 수 있어"...보복 대신 외교적 해결 모색
"관세 부과는 더 큰 도전의 시작일 수 있어"...보복 대신 외교적 해결 모색

안와르 총리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 채널에 게시된 비디오 연설에서 "말레이시아는 아세안 의장국으로서 통일된 지역 전선을 제시하고, 개방적이고 탄력적인 공급망을 유지하며, 국제무대에서 아세안의 집단적 목소리가 명확하고 확고하게 들리도록 하기 위한 노력을 주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와르 총리는 별도의 게시물에서 팜 민 찐 베트남 총리와 통화하여 지역의 집단적 대응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또한, 6일 저녁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과도 관세 문제에 관해 대화를 나눴다고 페이스북을 통해 공개했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10개국은 미국의 관세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국가들 중 하나다. 트럼프 행정부는 베트남과 캄보디아에 각각 46%와 49%의 관세를 부과했고, 말레이시아에는 24%의 관세를 매겼다.
다른 지역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말레이시아는 관세에 대한 보복 조치 대신 외교적 해결을 모색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미국 상품에 47%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주장에 대해서는 강하게 반박했다.
안와르 총리는 정부가 지정학적 지휘 센터를 설립했으며 "상호 수용 가능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미국과의 대화가 이미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말레이시아의 대응이 "차분하고 단호하며 국익에 따라 인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총리는 관세로 인해 국가가 경기침체에 빠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이전 입장을 재확인했지만, 관세가 4월 9일에 발효되면 정부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 목표를 재검토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우리는 이번 전면적인 관세 부과가 외부 경제에 닥칠 더 큰 도전의 시작일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고 안와르 총리는 경고했다.
말레이시아 국영 통신사 베르나마가 6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총재 압둘 라시드 가푸르는 말레이시아가 여전히 관세에 대해 미국과 협상할 여지가 있으며, 중앙은행은 회담 이후에야 인플레이션에 대한 전체적인 영향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세안 국가들의 이러한 공동 대응 움직임은 트럼프 행정부의 일방적인 관세 조치에 대한 지역 차원의 우려를 반영하는 것으로, 개별 국가가 아닌 지역 블록으로서 협상력을 높이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말레이시아는 올해 아세안 의장국으로서 역내 경제 통합과 무역 촉진을 주요 의제로 내세웠으나,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해 계획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커졌다. 안와르 총리의 이번 발언은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여 아세안의 단결을 강화하고 지역 내 경제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아세안이 미국에 대해 단일 목소리를 내는 것이 각국의 이해관계 차이로 인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면서도, 공동 대응을 모색하는 것 자체가 트럼프 행정부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평가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