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中, ‘트럼프 관세 공세’에 맞불…무역 ‘소모전’ 본격화

글로벌이코노믹

中, ‘트럼프 관세 공세’에 맞불…무역 ‘소모전’ 본격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 속하는 나라들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 속하는 나라들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공세를 펼치면서 중국이 사실상 ‘경제 소모전’ 체제에 돌입했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주 중국산 제품을 직접 수입하거나 중국에서 조립한 상품을 들여오는 거의 모든 국가에 대해 최소 10%의 관세를 부과했으며 베트남 등 중국 생산기지를 수용한 국가에는 훨씬 더 높은 수준의 관세를 부과했다. 이에 중국은 보복 관세로 맞서며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로 50% 인상을 경고하자 “끝까지 싸우겠다”고 맞받았다.

중국 정부 자문관은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먼저 항복하는 쪽이 피해자가 된다”며 “누가 더 오래 버틸 수 있느냐의 문제”라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이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은 제한적이란 지적이다.

아시아, 유럽 등 다른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계획도 현실적으로는 큰 탈출구가 되지 못할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을 제외한 국가들은 시장 규모가 작고, 자국 경제 역시 관세 여파로 충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위안화 평가절하가 가장 손쉬운 대응책으로 꼽히지만 이는 자본 유출과 대외 신뢰도 저하라는 부작용이 따른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현재까지 중국 당국은 위안화 절하를 제한적으로만 허용하고 있다. 수출 세금 환급, 보조금 지급 등의 경기 부양책도 산업 과잉과 디플레이션 우려를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고민이 깊다.

중국은 지난 4일 미국산 제품에 대해 일괄적으로 보복 관세를 부과했고 동시에 희토류 7종을 수출 통제 품목에 추가했다. 미국 국방·기술 산업이 의존하는 핵심 원료의 공급망에 타격을 줄 수 있는 조치다. 중국은 향후 10개 희토류 품목에 대해 추가 통제를 하거나 미국 수출 전면 금지 카드까지 검토 중이다.

또 틱톡 미국 사업 분할 요구와 관련해 2020년 도입한 기술 수출 통제 조항을 근거로 알고리즘 이전을 불허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중국 당국은 미국 드론 제조업체 스카이디오에 제재를 가하는 등 자국 기업 보호와 보복 수단을 병행하고 있다. 우신보 푸단대 미국문제연구소장은 “우리의 조치는 정밀 타격”이라며 “절제 유지가 우선이며 비대칭 대응 방식이 다음”이라고 말했다.

정치적 상황 역시 미국보다 중국이 유리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은 자국 여론을 통제할 수 있는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월가의 비판과 함께 지난 주말 미국 전역에서 벌어진 관세 반대 시위 등 국내 여론의 거센 반발에 직면했다. 천즈우 홍콩대 금융학과 교수는 “무역 전쟁은 결국 자국 국민을 얼마나 잘 통제하며 경제적 충격을 관리할 수 있는가의 싸움”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정치적으로 중국과 싸우기에 불리한 입장”이라고 평가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