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이날 중의원 재무금융위원회에 참석해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단계적인 금리 인상이 인플레이션 퇴치가 아니라 금융정책의 정상화가 목적인지에 대한 질문에 이와 같이 답했다.
그는 “경우에 따라 물가상승률이 가속화되어 추후 급격한 금리 인상을 강요당할 위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우에다 가즈오 총재는 미국의 자동차 관세나 상호 관세 도입으로 내외 경제와 물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는 인식을 드러내며 향후 미국의 관세 정책을 주시하면서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시장과 경제,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주시한 후 적절하게 정책을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일본은행이 임금과 물가 등의 지표를 배경으로 조기 금리 인상을 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미국 관세 조치 등으로 금융시장의 혼란이 찾아와 상황이 급격하게 달라지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블룸버그는 “시장에서는 추가 금리 인상 시기를 뒤로 미룰 수 있다는 추측이 나오고 있으며, 지난해부터 이어진 정책 정상화 노선이 수정이 이루어질지 등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