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트럼프 행정부 '자전거 관세' 급변에 美 전기자전거 업계 혼란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트럼프 행정부 '자전거 관세' 급변에 美 전기자전거 업계 혼란

미국 전기자전거 업체 렉트릭의 전기자전거. 사진=렉트릭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전기자전거 업체 렉트릭의 전기자전거. 사진=렉트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끄는 현 행정부의 고율 관세 부과 조치와 갑작스러운 철회가 맞물리며 미국 전기자전거 시장이 큰 혼란에 빠졌다.

10일(이하 현지시각)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월 중국산 전기자전거에 기존 25% 관세에 더해 2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이달 2일 이른바 ‘해방의 날’ 조치로 추가 34% 관세를 부과하면서 전체 관세율이 한때 84%까지 급등했다.

이에 따라 생산원가 500달러(약 72만원) 수준의 중국산 전기자전거는 미국 국경을 넘는 순간 1250달러(약 182만원)로 가격이 치솟게 됐다. 미국 입장에서는 유통·물류비와 운영비 등을 감안하면 소비자가격 상승이 불가피한 상황이 됐다.

중국 정부가 트럼프의 “일방적 횡포”라며 보복 관세를 발표하고 미국 재무부가 국채시장 불안을 우려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결국 10%를 초과하는 대부분 국가의 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중국에 대해서는 관세율을 125%로 인상해 결과적으로 전기자전거의 총 관세율은 150%에 달하게 됐다.
일렉트렉은 “중국이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전기자전거 생산국이라는 점에서 이같은 조치가 사실상 미국 수입 전기자전거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가격 인상 조짐은 이미 업계에 확산되고 있다. 미국 전기자전거 브랜드 벨로트릭은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새 관세로 인해 일부 모델의 가격이 4월 15일부터 인상될 수 있다”고 공지했다.

중국산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일부 기업들은 이미 생산지를 베트남 등으로 이전해왔다. 전기자전거 제조업체 렉트릭의 리바이 콘로우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 11월 ‘마이크로모빌리티 아메리카 2024’ 컨퍼런스에서 “중국산 제품에 집중된 관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생산기지를 분산하는 전략을 써왔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번 ‘해방의 날 관세’에서 베트남 역시 중국보다 높은 관세율이 일시 부과되면서 이같은 전략도 위기에 직면했다.

일렉트렉은 “전기자전거 산업은 생산부터 가격 책정까지 최소 1년 이상의 계획을 요구하는 구조인데 트럼프 행정부의 예측 불가능한 관세 정책이 시장 전반에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전기자전거는 여전히 소수에 불과하다. 캘리포니아에 공장을 둔 일렉트릭 바이시클 컴퍼니 등 일부 기업이 조립 생산을 하고 있지만 이들조차도 대부분의 부품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어 완전한 자립은 어렵다는 평가다.

일렉트렉은 “전기자전거 산업은 대중교통이나 자동차의 대체재로서 친환경성과 접근성을 인정받고 있었으나 이번 관세 여파로 가격 상승이 불가피해지면서 대중성에도 큰 타격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