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이랬다 저랬다' 트럼프 오락가락 정책에 시장 대혼란...“매일 아침이 패닉”

글로벌이코노믹

'이랬다 저랬다' 트럼프 오락가락 정책에 시장 대혼란...“매일 아침이 패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오락가락 말바꾸기를 거듭하면서 시장이 패닉에 빠졌다. 국내 시장뿐만 아니라 미국 증시에서도 트럼프의 연일 계속되는 말 바꾸기에 롤러코스터와 같은 지표가 지속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의 불확실성이 극대화되고 금융 시장의 혼란이 가중되는 모양새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각)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84%에서 124%로 올린다고 발표했다. 이미 발동된 20%의 제재관세와 더불어 총 145%의 고율 관세를 적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면서 중국을 뺀 다른 국가에는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미국의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도 이 기간 25%에서 10%로 낮아진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시장에 여파가 쏟아졌다. 이날 나스닥지수는 -5% 하락을 거듭했다. 전날 12% 오른 것과는 대조적이다.

개별 종목들도 부침이 심하다. 대표적인 것이 US스틸 주가다. US스틸은 이날 5.6%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보다 앞선 시간외 거래에서 10%이상 하락한 것을 포함하면 2월 초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겪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제철 인수안에 대한 재검토를 지시했다가 하루 만에 “US스틸이 일본 기업의 소유가 되는 것을 보고 싶지 않으며, 다른 외국인 바이어들에게도 팔지 않을 것”이라며 말을 바꾼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런 오락가락 행보에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정책에 대응해 경영 전략을 짜는 기업들은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할지 가늠할 수 없는 혼란스러운 상황에 놓였다. 경기 침체와 관세 부과를 고려해 다양한 전략을 검토해온 기업들은 불확실성 요소가 가중돼 앞으로의 시나리오를 더욱 예상하기 어려워졌다는 반응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대(對)미국 관세·비관세 장벽 해소를 위한 협상에 나선 한국을 비롯한 70여개국에 대해 한시적으로 관세율을 낮춤에 따라 일단 25% 관세 부과가 유예돼 급한 불을 끈 점은 다행이지만, 국내 기업들 입장에서는 확대되고 있는 정책 불확실성에 대응 방안이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

트럼프 관세 정책에 영향을 받는 다른 외국 기업들과 연계된 산업을 펼치는 기업들도 마찬가지다. 특히 중국과의 무역 갈등이 깊어지면서 이에 대한 우려는 계속 깊어질 전망이다. 우리나라 기업들 입장에서 미국과 중국은 빼놓을 수 없는 무역 교역국이기 때문이다.

투자 전략도 트럼프의 입장변화로 인해 갈짓자 행보가 거듭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다수의 기업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미국의 관세 방침으로 해외 투자 전략 보류를 결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으나, 지난 2일 상호관세 발표 때 무역협정(USMCA) 적용 품목에 계속 무(無)관세를 유지하겠다며 한발 물러선 상태다. 현지 생산 시설이나 주력 제품 판매를 하고 있는 기업들의 고심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모양새다.

JP모건 체이스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는 폭스 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무역이 불공평했다는 의견은 완전히 타당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리세션(경기침체)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다”라고 지적했다.

또 디트로이트 지역 상공회의소와 미시간 오토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자동차 산업의 공급망을 분열시키고 국제 경쟁력을 약화시키지 않도록 촉구하는 성명에서 “미시간주의 기간산업과 이를 뒷받침하는 공급망과 노동자들은 무역정책의 변화로 인한 불확실성과 혼란에 계속 직면할 수밖에 없다”고 호소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