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닌텐도 스위치2, 관세 면제 제외...145% 관세 충격 예상

글로벌이코노믹

닌텐도 스위치2, 관세 면제 제외...145% 관세 충격 예상

미국, 스마트폰·노트북은 관세 유예했지만 게임기 포함 안 해
업계 "대부분 중국산 스위치, 가격 경쟁력 타격 불가피"
2025년 4월 3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미디어 행사에서 참석자가 닌텐도 스위치 2(Nintendo Switch 2) 게임 장치로 플레이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2025년 4월 3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미디어 행사에서 참석자가 닌텐도 스위치 2(Nintendo Switch 2) 게임 장치로 플레이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이 스마트폰과 노트북에 대한 관세를 유예했지만 게임 콘솔은 면제 대상에서 제외됨에 따라 출시를 앞둔 닌텐도 스위치2가 무역전쟁의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닛케이 아시아가 최근 입수한 애플과 닌텐도의 주요 공급업체 내부 평가 메모에 따르면, 게임 콘솔은 여전히 중국산 제품에 대해 145%의 미국 관세를 적용받고 있어 출시를 앞둔 닌텐도의 새 콘솔이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스위치 콘솔의 대다수는 중국에서 생산되며, 일부만 베트남에서 제조되고 있다. 닌텐도는 이미 미국에서 스위치2의 선주문을 연기했으며, 이는 트럼프의 "상호적" 관세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조치로 알려졌다.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5 콘솔 역시 상당수가 중국에서 생산되어 비슷한 타격이 예상된다.

게임 콘솔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생산되는 스마트 스피커, 블루투스 스피커, 무선 이어폰도 145%에서 최대 170%까지의 미국 관세가 부과될 전망이다. 다만 많은 오디오 제품은 이미 생산기지를 동남아시아로 옮겨 현재 90일 동안 10%의 낮은 관세가 적용된다. 중국산 TV는 156.4%의 고율 관세에 직면해 있지만, 일부 TV 조립은 이미 멕시코로 생산을 이전한 상태다.
중국산 제품에 대한 이러한 고율 관세는 미국이 판단하는 무역 협정 위반과 펜타닐 단속과 관련하여 부과된 징벌적 관세를 모두 고려한 것이라고 내부 메모는 설명했다.

지난 11일 미국은 미·중 무역분쟁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서버 등에 대한 관세 면제 목록을 발표했다. 그러나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은 13일 이들 제품이 약 한 달 후 반도체와 함께 별도의 관세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밝혀 일시적 면제에 불과함을 시사했다.

현재 중국에서 생산되는 스마트폰과 노트북에는 여전히 20%의 기본 관세가 부과되며, 중국산 서버와 전자 스위치에는 45%의 관세가 부과된다. 중국은 애플의 맥북과 HP, 델, 레노버, 에이서, 아수스텍 컴퓨터가 생산하는 노트북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아이폰도 여전히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한 무역 환경에 대응해 폭스콘, 콴타 컴퓨터, 페가트론과 같은 핵심 기술 공급업체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한 관세를 90일간 10%로 인하한 이후에도 중국 이외 지역에서의 생산을 계속 확대하고 있다.

업계 소식통에 따르면, 베트남, 태국, 인도에 있는 기술 공급업체의 시설은 미국이 갑자기 스마트폰과 노트북에 대한 관세를 면제한 이후에도 최대 용량으로 계속 가동되고 있다. 이는 현재의 극도로 불안정한 무역 환경을 감안할 때, 가능한 한 많은 제품을 중국 외 지역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즉시 배송하는 것이 위험을 줄이는 전략이라는 판단에서다.

전문가들은 게임 콘솔의 경우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중국의 공급망 의존도가 높아 단기간에 생산기지를 이전하기 어렵다고 분석한다. 이 때문에 닌텐도와 소니 같은 게임기 제조사들은 고율 관세를 소비자 가격에 일부 반영하거나 이윤을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다.

게임 산업 분석가들은 닌텐도 스위치2의 경우 미국 시장이 전체 판매의 약 40%를 차지하는 핵심 시장인 만큼, 출시 일정 조정이나 가격 전략에 상당한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대응해 일본과 대만 등의 전자제품 제조사들은 동남아시아와 인도 등으로의 생산기지 다변화를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완전한 공급망 이전에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돼 단기적으로는 추가 비용 부담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