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아시아 채권, 트럼프 관세 혼란 속에서도 미국 채권보다 우위 유지

글로벌이코노믹

아시아 채권, 트럼프 관세 혼란 속에서도 미국 채권보다 우위 유지

아시아 채권 시장 7억5300만 달러 순유입, 미국은 96억 달러 순유출
아시아 중앙은행들의 금리 인하 정책이 지역 채권 시장 뒷받침
미국의 급격한 관세 인상과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도 아시아 채권 시장이 미국 채권보다 높은 회복력을 보이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의 급격한 관세 인상과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도 아시아 채권 시장이 미국 채권보다 높은 회복력을 보이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의 급격한 관세 인상과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도 아시아 채권 시장이 미국 채권보다 높은 회복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아시아 지역 중앙은행들의 금리 인하와 트럼프 정부의 불안정한 관세 정책이 '미국 예외주의'를 약화시킨 영향이 크기 때문이라고 15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TD 증권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채권 펀드는 지난주 96억 달러의 순유출을 기록하며 선진국 시장 부문에서 가장 큰 손실을 냈다. 반면 아시아 채권 펀드는 같은 기간 7억5300만 달러의 순유입을 달성했다. 신흥시장 부문 전체로는 36억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

14일 싱가포르 중앙은행은 통화정책 완화를 결정했다. 이는 필리핀과 인도가 금리를 인하한 지 일주일도 채 지나지 않은 시점이다.

런던 T. Rowe Price의 크리스 쿠슐리스 수석 신흥시장 매크로 전략가는 "트럼프의 관세는 아시아 경제 성장에 상당한 역풍이 될 것"이라며 "이는 원자재 가격에 하방 압력을 가해 인플레이션을 낮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아시아 중앙은행들이 금리 인하를 가속화함으로써 인플레이션 하락과 성장 압력에 대응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아시아 채권에 힘을 실어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싱가포르 인베스코의 노버트 링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글로벌 리스크 오프 심리 속에서 아시아 투자등급 채권은 회복력을 보이며 미국 채권보다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그는 아시아 투자등급 채권에 대한 신용 스프레드가 미국 채권보다 덜 확대되었다고 지적했다. 신용 스프레드 확대는 투자자들이 채권 보유에 더 높은 프리미엄을 요구한다는 의미로, 위험 증가를 반영한다.

링 매니저는 아시아 채권의 회복력 이유로 "아시아 투자등급지수의 절반 이상이 단일 A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꼽았다. 단일 A 등급은 낮은 채무불이행 위험과 높은 신용등급을 나타낸다.

그는 최근 시장 매도세 이후 아시아의 BB와 BBB 신용 리스크 프리미엄의 차이가 250bp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투자자들이 양질의 낮은 부도율을 원한다면, 아시아 크레딧이 매우 강력한 근거를 가지고 있는 분야"라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징벌적 관세 정책, 특히 중국산 제품에 대한 145%에 달하는 고관세는 지난주 시장을 크게 뒤흔들었다. 전 세계 증시는 하락폭을 만회하기 전에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미국 국채와 일본 국채 수익률이 상승하면서 글로벌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확산됐다.

Man Group의 스리람 레디 고객 포트폴리오 관리 책임자는 "관세를 둘러싼 뉴스는 모든 기업의 크레딧이 동등하게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크레딧 내에서 의사 결정 측면에서 매우 신중해야 할 필요성을 강화할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며칠 동안의 움직임은 시야를 넓히고 전 세계 기회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는 것이 신중할 것임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T. 로우의 쿠슐리스는 트럼프의 관세가 아시아 달러 채권 발행자들을 더 선별적으로 압박하며, 영향의 정도는 발행자에 따라 다를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트럼프의 관세 대상인 하드웨어, 기술, 반도체, 자동차 공급망의 아시아 기업들은 미국에 "상당한 익스포저"를 갖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반면 금융, 유틸리티 및 인프라 부문의 아시아 발행사들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을 것으로 예상했다.

쿠슐리스는 "궁극적으로 향후 시장 환경은 변동성과 분산성이 더 커지고 적극적인 증권 선택에 대한 보상을 받는 환경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