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하버드, 연방지원금에 더해 면세 혜택도 박탈 검토" 경고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하버드, 연방지원금에 더해 면세 혜택도 박탈 검토" 경고



지난해 9월 3일(현지시각)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하버드대 캠퍼스에서 가을 학기 개강일을 맞아 한 학생이 존 하버드 동상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해 9월 3일(현지시각)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하버드대 캠퍼스에서 가을 학기 개강일을 맞아 한 학생이 존 하버드 동상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하버드대학교를 겨냥해 연방정부의 보조금 동결에 이어 세금 면제 혜택까지 박탈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버드대가 트럼프 행정부의 학내 개혁 요구를 '위헌적 권력 남용'으로 규정하며 공식적으로 거부한 데 따른 조치다.
16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소셜미디어에 올린 글에서 하버드대가 “정치적·이념적, 테러 영감을 받은 병적인 사상을 퍼뜨리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같은 행태가 계속될 경우 비영리 교육기관으로서의 면세 지위를 박탈할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갈등은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해 2023년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 공격 이후 미국 내 대학가에서 확산된 친팔레스타인 시위를 반미·반유대주의적 행위로 규정하며 시작됐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하버드가 유대계 미국 학생들을 상대로 한 반유대주의 행위를 방치했다”며 사과를 요구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컬럼비아대학교에 대해 시위 규제 강화를 조건으로 4억달러(약 5533억원)의 보조금과 계약을 중단한 바 있다. 하버드대에는 이보다 훨씬 많은 20억달러(약 2조2132억원) 이상의 보조금과 계약이 동결됐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목록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같은 조치에 대해 일부 교수들과 학생들은 “시위가 반유대주의로 일방적으로 규정되며 표현의 자유와 학문적 자율성이 침해당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지난 14일 공개한 서한에서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프로그램 폐지와 사상적 다양성 감사 요구 등은 전례 없는 권력 행사이자 헌법과 민권법 위반”이라며 정부 요구를 거부했다. 그는 “하버드대는 반유대주의를 포함한 모든 차별에 맞서면서도 학문적 자유와 시위의 자유를 보장하고자 노력해왔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프린스턴대와 스탠퍼드대도 하버드대의 입장을 지지하고 나섰다. 크리스토퍼 아이스그루버 프린스턴대 총장은 “하버드를 지지한다”며 가버 총장의 서한을 읽어보라고 권유했고 스탠퍼드대 조너선 레빈 총장과 제니 마르티네스 교무처장은 공동성명을 통해 “학문적 자유는 미국 대학의 핵심 전통이며 지켜야 할 가치”라고 강조했다.

한편, 프린스턴대와 일리노이대를 포함한 일부 대학들은 에너지부가 진행 중인 첨단 원자력 기술, 사이버보안, 신약개발 연구 등 정부 지원을 중단한 데 반발해 15일 소송을 제기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