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챗GPT에 '감사합니다'는 사치"…올트먼, 예의 바른 이용으로 '거액 손실 발생' 고백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챗GPT에 '감사합니다'는 사치"…올트먼, 예의 바른 이용으로 '거액 손실 발생' 고백

샘 올트먼 오픈AI CEO.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샘 올트먼 오픈AI CEO. 사진=로이터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챗GPT와 같은 인공지능 챗봇에 '감사합니다'나 '부탁합니다' 같은 공손한 말을 반복하는 것이 상당한 비용을 유발한다고 털어놔 시선을 집중시키고 있다.

21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기술 전문매체 퓨처리즘에 따르면 한 이용자가 X를 통해 “이용자들이 챗GPT에 ‘감사합니다’ ‘부탁합니다’라고 말해 오픈AI가 잃은 전기료가 얼마일지 궁금하다”고 글을 올리자 올트먼 CEO는 “수천만 달러가 쓰이고 있다”고 답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AI에게 정중하게 대화하는 것이 그저 습관이 아니라 더 나은 결과를 이끌어내는 설계 철학의 일환이라고 주장한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디자인 매니저 커티스 비버스는 “예의 바른 언어 사용은 협력적인 응답을 유도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말투가 정중하면 응답도 더 정중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MS의 공식 연구 메모에서도 “생성형 AI는 사용자의 전문성, 명확성, 세부성 수준을 반영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지난해 말 미국에서 진행된 조사 결과 AI 챗봇에 정중하게 대하는 응답자는 전체의 67%에 달했으며 이 중 55%는 “그게 옳은 일이라고 생각해서”라고 답했고 12%는 “AI가 반란을 일으킬 경우를 대비해서”라는 이유를 들었다.

하지만 이같은 예의는 비용 문제로 이어진다는 지적이다. 워싱턴포스트가 캘리포니아대 연구진과 함께 조사한 바에 따르면 AI로 100단어 분량의 이메일을 생성할 때 필요한 전력량은 0.14킬로와트시(kWh)로 이는 LED 전구 14개를 1시간 동안 켤 수 있는 양이다.

매주 AI 이메일 하나씩을 1년간 보낼 경우 약 7.5kWh를 소비하게 되며 이는 워싱턴DC 소재의 가정 9곳이 1시간 동안 소비하는 전기량과 맞먹는다.

오픈AI를 포함한 생성형 AI 기술이 사용하는 데이터센터는 이미 세계 전력 소비량의 약 2%를 차지하고 있다. 이 수치는 AI가 일상에 더욱 깊숙이 들어올수록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AI에게 정중한 말투를 쓰는 것은 사소한 예절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탄소 배출과 직결되는 문제라는 점에서 새로운 고민을 던지고 있다고 퓨처리즘은 전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