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은 21일(현지시각) 코카콜라와 넷플릭스를 추천했다.
이 어려운 시기에 일단 몸을 숨길 수 있는 안전한 투자종목으로 꼽았다.
폭풍 피난항

CNBC에 따르면 JP모건 애널리스트 안드레아 테익세이라는 21일 분석노트에서 코카콜라가 “어떤 날씨에도 안전한 ‘폭풍 피난항’ 역할을 한다”고 단언했다.
테익세이라는 코카콜라 매수 추천과 함께 올해 말 목표주가를 74달러에서 78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대부분 종목들의 목표주가가 하락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코카콜라는 오는 29일장이 열리기 전 1분기 실적을 공개한다.
버핏이 주주총회 장에 늘 입에 물고 나타나는 코카콜라는 트럼프 트레이드가 악몽이 되고 있는 올해 두드러진 움직임을 보이는 종목이다.
시장 실적 지표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500 지수가 올해 1분기 14% 폭락한 것과 달리 코카콜라는 17% 급등했다.
테익세이라는 코카콜라 총매출에서 미 시장 매출은 17%에 불과하다며 미 시장 흐름이 저조해도 코카콜라는 다른 시장에서 충분히 그 충격을 상쇄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코카콜라가 또 소비자들의 필요에 맞게 가격대를 조정하거나 용량을 조정하는 등 대응 능력을 갖추고 있어 경기 침체기에도 안정적인 실적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테익세이라는 오랜 기간에 걸친 코카콜라의 마케팅, 혁신 등이 이런 역량 확보로 이어졌다면서 코카콜라는 지금 같은 불확실성에 상대적으로 더 잘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트럼프의 관세는 코카콜라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가장 큰 부담은 철강과 알루미늄에 붙는 25% 관세다. 코카콜라 캔 제조비용이 높아졌다.
그러나 테익세이라는 코카콜라의 실적에 영향을 줄 정도로충격이 크지 않다고 단언했다.
경기 침체기에도 영화와 드라마는 본다

JP모건은 넷플릭스도 추천 종목으로 꼽았다.
배런스에 따르면 JP모건 애널리스트 더그 앤머스는 21일 넷플릭스 목표주가를 1025달러에서 115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몰고 올 경기 침체기에 넷플릭스는 안전한 피난처라는 것이다.
JP모건만 그렇게 판단한 것이 아니다.
웨드부시 증권 애널리스트 알리시아 리스 역시 이날 넷플릭스 목표주가를 1150달러에서 1200달러로 높였다.
필립증권의 헬레나 왕 애널리스트도 넷플릭스에 긍정적이었다.
왕 애널리스트는 21일분석노트에서 “넷플릭스가 역사적으로 경기침체기에는 탄탄한 회복탄력성을 보였다”면서 “소비자들은 넷플릭스를 외출을 대신할 수 있는 저비용 유흥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넷플릭스 추천의견을 매도에서 중립으로 상향 조정했다.
미 경제가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속에 침체에 빠지는 스태그플레이션으로 갈 것이란 우려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은 최근 연설에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예상보다 공격적이라면서 이로 인해 인플레이션 하강이 타격을 입고, 미 경제는 성장이 둔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넷플릭스는 21일 주식 시장 폭락세 속에서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