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모디 총리·밴스 부통령, 인도·미국 무역 협상 진전 강조

글로벌이코노믹

모디 총리·밴스 부통령, 인도·미국 무역 협상 진전 강조

트럼프의 관세 유예 기간 내 협정 타결 목표
인도 총리, 올해 트럼프 방문 기대 표명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인도 총리(오른쪽)가 4월 21일 뉴델리 자택에서 JD 밴스 미국 부통령과 부전 여사 우샤 밴스 여사, 자녀들을 만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인도 총리(오른쪽)가 4월 21일 뉴델리 자택에서 JD 밴스 미국 부통령과 부전 여사 우샤 밴스 여사, 자녀들을 만나고 있다. 사진=로이터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JD 밴스 미국 부통령이 양국 간 무역 협상의 진전을 강조했다. 인도가 미국의 관세를 피하고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계 개선을 서두르는 가운데 이루어진 이번 회담에서 양측은 무역 관계 강화에 대한 의지를 확인했다고 22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밴스 부통령은 21일 인도에 도착해 가족과 함께 4일간의 개인 방문을 시작했다. 그의 일정에는 타지마할 방문과 자이푸르 시에서의 연설 등이 포함되어 있다고 미국 관리들이 밝혔다. 밴스의 아내 우샤는 인도계 이민자의 딸로, 이번 방문은 개인적 의미도 담고 있다.

모디 총리실은 회담 후 성명을 통해 "두 정상은 에너지, 국방, 전략 기술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 주목했다"고 밝혔다. 또한, 지역 및 글로벌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대화와 외교를 통한 해결을 촉구했다고 덧붙였다.

모디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따뜻한 인사를 전하고 올해 말 인도 방문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 측은 양국이 무역에 대한 추가 논의를 위한 로드맵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밴스 측은 이번 회담을 "양국의 일자리 창출과 시민 복지 증진에 초점을 맞춘 새롭고 현대적인 무역 협정을 협상할 기회"로 평가했다. 그러나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인도와의 무역 관계에서 심각한 호혜주의의 결여"가 해결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모디 총리와 밴스 부통령은 지난 2월 모디가 워싱턴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을 때 논의했던 양국 협력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진전을 검토했다. 여기에는 양방향 무역의 "공정성"과 방위 파트너십 성장이 포함된다.

모디 총리는 트럼프가 취임한 후 가장 먼저 만난 세계 지도자 중 한 명이었으며, 로이터 통신은 인도 정부가 무역협상의 일환으로 2024년 총 418억 달러 상당의 미국산 수입품의 절반 이상에 대한 관세를 인하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계속해서 인도를 '관세 남용자', '관세왕'이라고 부르고 있다.

미국 정부 무역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은 인도의 최대 무역 상대국이며, 2024년 양국 무역은 1290억 달러에 달했으며 인도는 457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인도 관리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4월 9일 발표한 주요 무역 상대국에 대한 관세 인상이 90일 동안 중단된 기간 내에 미국과의 무역협상을 타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새로운 조치에 따르면 인도의 대미 수출 상품 중 상당 부분이 25% 이상의 관세가 부과될 위기에 처해 있다. 많은 미국 수입품에 대한 10%의 포괄 관세는 여전히 유효하다.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재무장관은 21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순방을 시작하면서 "인도는 올 가을까지 무역 협정의 첫 번째 부분을 긍정적으로 마무리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시타라만은 "미국과의 관계는 단지 상호 관세 문제만이 아니라 우리가 합의를 맺어야 하는 가장 큰 무역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밴스 부통령의 이번 인도 방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말 쿼드(Quad) 정상회담을 위해 인도를 방문할 가능성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으로도 보인다. 쿼드는 인도, 호주, 일본, 미국으로 구성된 안보 협의체다.

델리에 있는 싱크탱크 옵저버 리서치 재단의 외교 정책 책임자인 하쉬 팬트는 "미·중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밴스 부통령이 미국 외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방문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평가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