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이번 주 장관급 회담 연기...태국 "훌륭한 양국 관계 바탕으로 좋은 결과 기대"
트럼프 행정부, 대미 무역 흑자 급증한 태국에 고율 관세 부과 압박
트럼프 행정부, 대미 무역 흑자 급증한 태국에 고율 관세 부과 압박

당초 이번 주에 열릴 예정이었던 양국 간 장관급 회담이 연기되면서 협상 과정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지만, 태국 정부는 양국 간의 오랜 우호 관계를 바탕으로 "좋은 결과"를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22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태국 정부 대변인 지라유 훙섭은 언론 브리핑을 통해 이번 주 예정되었던 미국과의 장관급 회담이 연기되었음을 공식 발표했다. 그는 회담 일정 조정이 이루어졌으며, 태국의 수석 협상가인 피차이 춘하바지라 부총리 겸 재무장관이 22일에 관련 내용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원래 23일로 예정되었던 회담이 연기된 구체적인 이유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피차이 부총리는 당초 예정되었던 미국 사업가들과의 만남을 위해 지난주 시애틀 방문 계획을 취소하기도 했다. 이러한 일련의 상황은 양국 간의 관세 협상이 순탄치 않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협상팀의 일원인 피차이 나립타판 상무부 장관은 "태국과 미국은 훌륭하고 오랜 양자 관계를 맺고 있다"고 강조하며, 정부는 앞으로 열릴 협상에서 "좋은 결과"를 기대한다고 낙관적인 전망을 내비쳤다.
태국이 이처럼 높은 관세율 부과 위기에 직면한 배경에는 양국 간의 급격한 무역 불균형 심화가 자리 잡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초 약 170억 달러 수준이었던 태국의 대미 무역 흑자는 지난해 약 460억 달러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는 태국을 동남아시아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입 관세율 부과 대상으로 지목하며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패통탄 시나왓 총리 행정부는 미국의 고율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태국의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으로의 수출에 심각한 타격을 입어 올해 경제 성장률이 최소 1% 하락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는 태국 경제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태국 정부는 관세 부과를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태국 정부는 미국과의 협상 타결을 위해 다양한 카드를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으로는 옥수수, 천연가스, 에탄과 같은 미국산 원자재 수입을 확대하고, 태국 내 수입 관세를 인하하며 비관세 장벽을 제거하는 방안 등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에 기여하고, 양국 간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태국 정부는 미국으로 수출되는 상품에 대한 검역 및 통관 절차를 더욱 강화하겠다는 약속도 내놓았다. 이는 제3국이 미국의 높은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태국을 경유하여 상품을 수출하는 위장 행위를 방지하고, 미국의 무역 관련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이번 장관급 회담 연기로 인해 협상 과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태국 정부는 여전히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며 협상에 임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양국 간의 오랜 역사와 깊은 경제적 상호 의존성을 고려할 때, 극단적인 관세 부과보다는 상호 호혜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향후 며칠 내 피차이 춘하바지라 부총리가 밝힐 구체적인 협상 상황과 미국의 반응에 따라 양국 간 관세 갈등의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태국 정부가 제시한 다양한 제안과 미국의 요구 사항 사이에서 어떤 절충점을 찾을 수 있을지 국제 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태국의 경제 성장과 미국의 무역 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이번 협상의 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