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의 경제 정책 실수, 결국 가장 큰 피해자는 미국”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의 경제 정책 실수, 결국 가장 큰 피해자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과 불확실한 외교 노선이 미국 경제에 되레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22일(현지시각) ‘미국의 경제 실수로 가장 큰 고통을 받는 나라는 결국 미국 자신’이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미국이 더 이상 세계 경제의 중심축이 아니며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가 국내 경기 둔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비판했다.

FT는 “미국이 재채기를 하면 세계가 감기에 걸린다”는 낡은 격언은 이미 쓸모를 잃었다며 “이제는 미국이 총을 쏘면 발에 맞는 것은 자기 자신”이라고 지적했다.

칼럼을 쓴 크리스 자일스 논설위원은 “세계 경제의 85%를 차지하는 다른 나라들은 더 이상 미국의 행동을 일방적으로 따를 필요가 없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 중심주의와 동맹 무시에 따라 세계 각국이 미국의 요구를 수용할 유인도 줄었다”고 밝혔다.
세계은행 자료에 따르면 21세기 들어 미국의 글로벌 상품 수입 비중은 19%에서 13%로 줄었다. 수입품과 공급망의 최종 수요가 미국으로 귀결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 영향력은 이보다 클 수 있지만 전반적인 위상 하락은 명백하다는 지적이다.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수치로도 확인된다. 민간 경제 전망 기관인 컨센서스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올해 미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당시보다 거의 1%포인트 낮아졌으며 2026년 전망도 낙관적이지 않다. 반면 유로존과 중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소폭 하향 조정에 그쳤다.

자일스는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높은 관세와 이민자 불안 조장, 정부 신뢰 저하가 “미국 내 기업들의 불확실성을 증폭시키고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미 연방준비제도는 물가와 실업률 사이에서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는 것.

그는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캐나다와 멕시코, 식료품이나 기본 소비재를 수출하는 중소 국가들은 일부 영향을 받겠지만 전반적으로는 미국이 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주 미국 워싱턴에서는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의 춘계 회의가 열릴 예정으로 FT는 “이번 회의에서 경제적 고립국으로 지목될 가능성이 높은 국가는 미국”이라며 “다른 나라들이 얼마나 정중하게 비판을 할지만이 변수”라고 전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