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中, 전자상거래 플랫폼 '무반품 환불' 정책 7월부터 중단 지시

글로벌이코노믹

中, 전자상거래 플랫폼 '무반품 환불' 정책 7월부터 중단 지시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알리바바의 로고.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알리바바의 로고. 사진=로이터


중국 정부가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대해 소비자가 상품을 반품하지 않고도 환불받을 수 있는 '무반품 환불' 정책을 오는 7월부터 중단하라고 지시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는 경기 둔화로 어려움을 겪는 판매자들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핀둬둬(PDD 홀딩스), 징둥닷컴), 알리바바 등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자들과 회의를 갖고 현재의 무반품 환불 관행을 오는 7월까지 종료할 것을 요구했다. 이후에는 판매자만이 환불을 요청할 수 있도록 정책을 변경하라는 지시가 내려졌다.
이러한 조치는 특히 의류나 가전제품을 판매하는 중소 판매자들이 상품과 금액 모두를 잃는 상황에 처하면서 재정적 압박이 심화된 데 따른 것이다. 익명의 관계자는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경제 둔화 시기에 판매자들의 상황이 더욱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핀둬둬는 2021년부터 무반품 환불 정책을 확대 적용했으며 이후 경쟁사들도 이를 따라 시행해왔다. 그러나 지난해 7월 남부 중국의 핀둬둬 산하 플랫폼인 테무 사무실 앞에서 수백 명의 판매자들이 환불 정책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고 이에따라 시장감독총국과 상무부 등 당국이 핀둬둬에 정책 수정을 명령한 바 있다.

올해 들어 중국 정부는 '내권(內卷)식 경쟁'으로 불리는 과도한 가격 경쟁과 소비자 중심의 과잉 서비스에 대한 비판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달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는 '내권식 경쟁의 전면적 정비'가 정부 업무보고에 포함되기도 했다.

전자상거래 업계에서는 무반품 환불 정책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지만 판매자들에게는 큰 부담이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의류 분야에서는 반품률이 60%에 달해 판매자들이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 지속돼 왔다.

이번 정부의 조치는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고 판매자들의 생존을 돕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소비자 보호와 판매자 부담 간의 균형을 어떻게 맞출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