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회담 앞두고 입장 밝혀...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조정 나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 장관은 24일 워싱턴DC 재무부 청사에서 미국의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2+2’ 통상 협의를 개최한다. 한·미 양측은 그동안 안 장관과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의 미국 방문을 통해 조율한 관세와 관련된 기본 입장을 토대로 이번에 본격적인 협상을 시작한다.
안 장관은 “지금 25% 품목 관세가 부과된 자동차가 대미 교역에서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면서 “신속하게 이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미국 측이 아직 자동차 관세에 대한 협상 여지를 한국 측에 보인 적은 없다고 밝혔다.
그는 “한·미 교역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 자동차이고, 현대자동차가 얼마 전 대규모 (대미) 투자 계획도 발표했기에 그런 부분을 적극적으로 협의해 원만하게 문제를 풀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한국 정부가 미국과 협상을 앞두고 사전에 제안서를 제출하지는 않았다고 확인했다. 그는 “(미국) 고위급에서 잘못된 정보가 나와 해명하는 팩트 시트(자료표)를 전했으나 구체적인 협상 계획서가 오간 것은 없다”고 밝혔다.
미국의 자동차 업계도 전날 자동차 부품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취소할 것을 촉구했다. 미국의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를 대표하는 '자동차혁신연합(AAI)'과 디트로이트 3대 자동차 제조사인 GM과 포드, 스텔란티스 등이 결성한 '자동차정책위원회(AAPC)' 등은 서한에서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는 글로벌 자동차 공급망을 혼란에 빠트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자동차에 대한 관세는 지난 3일부터 부과되기 시작했고, 다음 달 3일 이전에 엔진·변속기·파워트레인 등 핵심 자동차 부품으로 관세 부과 대상이 확대된다.
안 장관은 2+2 통상 협의에 대해 "앞으로 협의를 해나갈 범주나 내용, 일정 등이 확정될 것이고, 그에 따라 협의에 대한 전반적인 틀을 갖춰 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이번 회담에서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문제 등 관세와 직접 관련이 없는 사안을 협상 테이블에 올려놓을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통화한 뒤 소셜미디어에 올린 글에서 관세와 방위비 문제를 포괄한 '원스톱 쇼핑'을 주장했다. 안 장관은 "지금 재무부 장관과 미 USTR 대표와 하는 2+2 협의에는 그런 부분들이 포함돼 있지 않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24일 오후에는 그리어 대표와 별도로 회담한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