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해당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23일(현지시각) 100%가 훨씬 넘는 중국 고율 관세를 품목에 따라 일부는 절반 이상을 삭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 관세율과 관련해 아직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았으며, 여러 방안을 두고 논의가 진행 중이다.
백악관의 한 고위 인사는 대중 관세율이 대략 50∼65% 정도로 내려갈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또한 내부 소식통은 대중 관세가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지 여부에 따라 차등 부과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해 미 하원 미중전략경쟁특별위원회는 미국의 전략적 이익에 관련된 품목에는 최소 100% 관세와 함께 그 외 국가안보와 무관한 품목에는 35% 관세를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여러 차례 언급한 데 이어 대중 협상에 대해 "잘하고 있다"라고 말한 뒤 145%에 달하는 대중 추가 관세에 대해 "매우 높다"고 인정하면서 협상을 하게 되면 "그 정도로 높게 있지는 않을 것이며, 상당한 수준으로 내려갈 것"이라고 언급해 대중 관세에 대한 달라진 기류를 시사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제로(0%)는 되지 않을 것"이라며 관세는 반드시 부과될 것임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중국과 “거대한 거래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으며, 중국과의 무역 협상을 진전시키기 위해서는 긴장 완화가 필요하고 미중이 서로 밝힌 과도하게 높은 관세율을 인하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한편 중국 외교부 궈자쿤 대변인은 23일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관세 인하 시사에 대해 "싸운다면 끝까지 맞서 싸울 것이지만, 대화의 문은 언제든 활짝 열려있다"라고 말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