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T는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계획이 최근 몇 주 동안 자동차 업계 경영진들의 강력한 로비에 따른 것이라고 보도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이 조치는 트럼프가 펜타닐 생산 억제를 명목으로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20%)와 철강·알루미늄에 부과하는 관세(25%)에서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하는 것이다.
FT에 따르면 이번 면제 조치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외국산 완성차 수입에 부과했던 25%의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자동차 부품에 대한 별도의 25% 관세도 그대로 유지되며, 5월 3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미국은 이미 주요 교역국에 대해 발표한 상호관세에서 자동차를 제외했지만, 최근 몇 주간 미국 자동차 기업들은 추가적인 관세 면제를 요구해 왔다.
FT는 이번 조치가 "미국 내 자동차 가격 상승, 공급망 붕괴와 일자리 감소 등의 우려로 트럼프가 가장 강경한 관세 정책에서 또 한 걸음 물러서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신문은 또한 이번 유예 조치가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 경제에 유리한 업계에 대해 관세를 면제할 의향이 있음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신호라고 해석했다.
자동차 업계 경영진들은 최근 일주일간 관세에 대한 비판을 더욱 강화해 왔다. 존 엘칸 스텔란티스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이 "미국과 유럽의 자동차 산업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또 다른 자동차 업계 고위 관계자도 지난 한 주 동안 관세에 대한 비판 수위를 높이면서 "그런 조치는 우리 산업의 건전성을 진정으로 위협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해방의 날’에 거의 모든 미국 교역국에 대해 최대 50%에 달하는 상호관세를 발표했으나 이후 90일간 10%의 기본 관세율만 부과하는 것으로 낮췄다.
FT는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자동차 부품의 원산지 규정을 단순화하는 방안 등을 포함해 현재 협상이 주로 관세 부과를 더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