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포브스 “머스크, 테슬라 위기 돌파할 아이디어 고갈…주가 반등에도 근본 해법 없어”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포브스 “머스크, 테슬라 위기 돌파할 아이디어 고갈…주가 반등에도 근본 해법 없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진=로이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연방정부 업무에서 손을 떼고 테슬라 경영에 다시 집중하겠다고 밝혔지만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6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에 따르면 테슬라는 올해 1분기 판매량이 9% 감소하고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71% 급락하며 최근 4년간 최악의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테슬라는 자동차 매출이 20% 줄어든 데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과한 관세로 인해 향후 실적 전망도 어두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테슬라는 올해 판매 목표조차 제시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테슬라 주가는 머스크가 정부효율부 역할 축소를 약속한 이후 9% 반등했다.

포브스는 그러나 “머스크가 테슬라 경영에 복귀해도 문제는 사라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포브스는 테슬라는 현재 자동차 부문과 에너지 저장 부문 모두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포브스에 따르면 최근 출시한 사이버트럭은 기대에 못 미쳤고 후속 인기 모델도 부재한 상황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145%의 중국산 배터리 관세는 테슬라의 배터리 사업에도 큰 타격을 줄 전망이다.

머스크는 지난 22일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우리는 죽음의 문턱에 있지 않다”며 위기론을 일축했다. 그러나 영국 마케팅 회사 더 비헤이비어스 에이전시의 수 벤슨 대표는 포브스와 인터뷰에서 “이번에는 제품이 아니라 사람의 문제”라며 “머스크 개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테슬라 브랜드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포브스에 따르면 최근 마켓대학 법대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0%가 머스크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밝혔고 58%는 그의 정부효율부 활동을 반대했다. 지난달 실시된 유고브와 야후뉴스 공동조사에서는 미국인의 67%가 ‘머스크 때문에 테슬라 차량 구매를 고려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로스 거버 거버가와사키자산운용 CEO는 “머스크는 사람들이 듣고 싶어하는 말을 했을 뿐”이라며 “머스크가 여전히 xAI, 스페이스X, X, 뉴럴링크, 정부효율부 등 여러 활동을 병행하고 있어 달라진 것은 없다”고 주장했다.

포브스에 따르면 테슬라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전기차 판매 감소를 반전시키는 것이다. 1분기 테슬라 전기차 판매는 13% 감소했으며 자동차 매출도 20% 줄어 차량 수와 판매 가격 모두 하락했다.

실제로 테슬라가 이익을 낼 수 있었던 것은 다른 완성차 업체에 판매한 배출권 크레딧 덕분이었다. 테슬라는 이번 분기에 5억9500만 달러(약 8164억원)어치의 크레딧을 팔아 4억900만 달러(약 5604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를 제외하면 오히려 적자였다.

새 모델 출시를 통한 반등 가능성도 불투명하다. 테슬라는 모델Y와 모델3를 소폭 개편한 버전을 준비 중이지만 자동차 업계 전반의 트렌드인 ‘풀 체인지(완전 변경)’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클리블랜드 기반 자동차 컨설팅업체 GM오토모티브의 글렌 머서 대표는 포브스에 “디자인 변화 없이 오래된 모델을 시장에 두는 것은 ‘좀비 모델’을 양산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테슬라가 가격을 낮추기 위해 배터리 용량을 줄이거나 첨단 기능을 삭제하는 방식으로 비용을 절감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머서는 “차라리 기능을 추가하는 편이 낫다”며 “기존 모습이 낡아 보이지 않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테슬라는 전기차 외에도 에너지 저장 사업이 주요 성장동력인데 이 역시 위협받고 있다. 테슬라는 중국 CATL과의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미국 네바다주 배터리 공장에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셀 생산을 추진하고 있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산 제품 고율 관세로 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다. 바이바브 타네자 테슬라 최고재무책임자(CFO)도 “중국산 셀에 의존하는 만큼 관세의 영향이 크다”고 인정했다.

포브스는 “테슬라는 외국에서 완성차를 수입하지는 않지만,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부품 등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관세 부담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특히 유틸리티 기업 대상 에너지 저장 시스템 판매 시장은 높은 가격 인상으로 인해 사실상 시장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거버는 “머스크가 테슬라 제품 전략을 실질적으로 바꿀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며 “정부효율부에 관여하는 정도를 줄인다고 해서 테슬라의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고 비판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