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의 무역전쟁, 유럽-아시아 관계 강화 촉매제 될 수도"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의 무역전쟁, 유럽-아시아 관계 강화 촉매제 될 수도"

민주주의와 다자주의 기반 새로운 동맹 형성 가능성 열려
"미국의 동맹국 적대시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협력 기회 제공"
아세안 정상회담 깃발.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아세안 정상회담 깃발. 사진=로이터
유럽과 아시아 국가들이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일방적인 관세 정책에 직면해 새로운 경제·안보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벨기에 소재 윌프리드 마틴스 유럽학 센터의 오언 드레아 선임 연구원은 트럼프의 무역전쟁이 역설적으로 유럽-아시아 간 관계 심화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분석했다고 25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유럽은 미국의 적대적 접근에 우려를 표명해왔다. JD 밴스 부통령이 지난 2월 뮌헨안보회의에서 한 연설은 유럽의 핵심 가치에 대한 미국의 적대감을 드러냈고, 트럼프 대통령은 EU가 "미국을 망쳐놓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EU는 신중한 인내심으로 대응하고 있다. 드레아 연구원은 "EU가 잘하는 한 가지가 있다면, 단기적 정치 공세와 장기적 정책 목표를 분리하는 것"이라며, "유럽의 근본적 우선순위인 세계 무역과 다자주의에 대한 개방성이 미국 정책에 의해 약화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강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이 유럽과 아시아 동맹국에 부과한 일방적 관세는 중국과의 경쟁에서 미국의 목표를 훼손하고 있다. 어떤 협상 결과가 나오든, "위기 시 미국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라는 보편적 믿음은 이미 심각하게 약화됐다.
이런 상황은 유럽과 아시아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드레아 연구원은 "워싱턴이 '미국의 적대국들과 맞서서가 아니라 동맹국들을 굴복시킴으로써' 권력을 투사하려 한다"며 이는 "장기적 파트너십 전략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유럽-아시아 관계 심화의 주요 이점으로는 두 가지가 꼽힌다. 첫째, 무역 관계 확대는 글로벌 불안정에 대한 헤지 역할을 할 수 있다. EU와 도쿄, 서울 및 기타 아시아 민주주의 국가들 간 긴밀한 파트너십은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에 기반한 다자간 모델을 확대할 것이다. 이미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은 EU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간 무역 협상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둘째, 이러한 파트너십은 중국으로부터의 리스크 제거와 관련된 미국의 요구를 탐색하기 위한 공통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 메커니즘으로는 EU-미국-일본 3자 무역장관 회의가 있으며, 이를 재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워싱턴의 새로운 정치적 의지가 필요하다.

유럽-아시아 관계 심화는 양측에 실질적 이익을 가져올 수 있다. 한국은 우크라이나 방어를 위한 동유럽의 핵심 군사 공급국으로 부상했고, 일본은 영국, 이탈리아와 함께 차세대 전투기 개발에 협력하고 있다.

유럽은 전기차 시대로의 전환 과정에서 중국의 경쟁과 미국의 관세를 헤쳐 나가는 방법에 대한 일본과 한국의 전문성이 필요하다. 또한, 세 지역 모두 인구통계학적 위기라는 공통의 도전에 직면해 있다.

현재 브뤼셀과 전통적인 미국 동맹국들은 미국 관세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제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진행 중인 90일간의 관세 "유예" 기간 동안 각국은 미국의 특혜를 확보하기 위해 경쟁할 것으로 보이며, 일본은 이미 이 경쟁에서 앞서나가고 있다.

그러나 드레아 연구원은 "이러한 단기적 대응이 불가피하더라도, 더 전략적이고 미묘한 장기적 접근을 배제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