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월마트, 미·중 무역전쟁 속 중국 공급업체에 선적 재개 지시

글로벌이코노믹

월마트, 미·중 무역전쟁 속 중국 공급업체에 선적 재개 지시

"관세 추가 비용 고객 부담" 방침... 일부 업체 주문량 40% 감소 후 반전
트럼프의 관세 완화 언급과 맞물려 협상 돌파구 가능성에 주목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브래드포드에 있는 월마트 매장을 한 쇼핑객이 나서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브래드포드에 있는 월마트 매장을 한 쇼핑객이 나서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중 무역전쟁으로 큰 타격을 입은 중국 장쑤성과 저장성의 일부 제조업체들이 월마트와 다른 주요 미국 소매업체로부터 최근 선적 재개 지시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발표 이후 배송이 급격히 감소한 지 몇 주 만의 변화다.

중국 닝보의 주요 문구 및 사무용품 수출업체는 28일 월마트로부터 미국으로의 정상적인 배송을 재개하라는 통지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 회사 부사장은 "오랜 파트너인 월마트로부터 미국으로 더 많은 선적을 시작하라는 지시를 받았으며, 중국 상품에 대한 새로운 관세의 추가 비용은 부담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관세 비용을 미국 고객들이 부담하게 될 것임을 시사한다.

장쑤성의 의류 옷걸이와 포장 제품 수출업체인 마이네티(Mainetti)의 지역 이사 폴 타이도 "주요 소매업체들이 중국 업체들에게 주문을 재개하라고 조언했다"며 "빠르면 4월 23일부터 미국 고객들이 비슷한 공지를 배포했다"고 확인했다.

타이 이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호혜적' 관세를 발표한 4월 2일 이후 많은 미국 수입업체들이 중국의 주문을 보류하거나 취소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4월 주문량이 작년 동기 대비 40% 이상 급감했기 때문에 이번 전환은 "좋은 소식"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또한 예측할 수 없는 관세 상황으로 인해 많은 공급업체들이 거래 조건을 변경했다고 밝혔다. "많은 공급업체가 DDP(관세지급인도조건) 대신 FOB(본선인도조건)를 제시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미국 수입업체는 현지 통관 대리인과 함께 미국 내 수입 관세를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중국산 수입품에 14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해 실효 관세율을 약 156%로 끌어올렸으며, 일부 중국 상품은 최대 245%의 관세에 직면해 있다. 이에 대응해 중국은 모든 미국 상품에 이전 관세에 더해 125%의 관세를 부과했다.

그러나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전쟁 완화를 위한 중국과의 협상에 관심을 보이는 발언을 했다. 그는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145%의 관세가 "실질적으로" 내려갈 것이라고 말했고, 타임지 인터뷰에서는 시진핑 주석과 대화를 나눴다고 주장했다.

중국 외교부는 두 정상 간 통화 사실을 부인했지만, 전문가들은 양국이 백채널을 통한 실무 논의를 진행 중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남중국공과대학의 쉬웨이쥔 교수는 월마트의 선적 재개 결정이 트럼프가 무역전쟁을 끝내야 한다는 미국 기업들의 압력에 직면하고 있음을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예상보다 강력한 대응은 트럼프의 전략을 뒤엎고 미국 다국적 기업들에게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며 "거대 기업들은 트럼프에게 자신들의 입장을 전달하고 일부 변화를 강요할 수 있는 수단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상하이의 한 국제학 교수는 월마트가 추가 관세 비용 부담 없이 중국 공급업체에 상품을 요청했다면, 이는 가까운 장래에 거래나 집행 유예가 일어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쉬 교수는 "트럼프는 관세를 조금씩 완화할 뿐"이라며 "양국이 협상 테이블로 돌아와도 모든 것을 정상 궤도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여전히 시간이 걸리고 많은 왕래가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월마트의 이번 결정은 미·중 무역전쟁이 완화 국면으로 접어들 가능성을 보여주지만, 중국 수출업체들은 여전히 트럼프의 정책 변화에 대비한 비상 계획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하고 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