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백악관, 아마존 관세 표시 계획에 "적대적 행위" 경고…주가 1%↓

글로벌이코노믹

백악관, 아마존 관세 표시 계획에 "적대적 행위" 경고…주가 1%↓

미국 뉴욕 스태튼 아일랜드에 있는 JFK8 유통 센터 밖의 아마존 로고.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뉴욕 스태튼 아일랜드에 있는 JFK8 유통 센터 밖의 아마존 로고.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원가를 제품에 표시하겠다는 아마존의 움직임에 대해 비난하면서 충돌을 예고했다.

29일(현지시각)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배석한 공식 석상에서 기자들에게 "전자상거래 대기업 아마존이 판매 사이트에 관세 비용을 표기할 계획이라는 보도가 사실이라면, 이는 적대적이며 정치적인 행위로 간주될 것"이라고 밝혔다.

레빗 대변인의 이러한 발언 여파로 투자 심리가 위축되며 아마존 주가는 이날 뉴욕 증시 개장 초 1% 넘게 하락 출발했다.

이에 앞서 미국 의회 전문 매체인 펀치볼 뉴스는 아마존이 "곧 개별 제품에 대한 미국 관세 비용을 가격 옆에 표시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보도에는 아마존의 계획에 대한 다른 세부 사항은 언급되지 않았다.
아마존의 이러한 대응은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기업들이 가격 전가 문제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레빗 대변인의 이 같은 발언은 아마존이 관세 부과 내역을 공개할 경우 정부에 대한 소비자들의 직접적 불만이 커질 수 있는 만큼 이를 정치적인 도발로 받아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시장에서는 이번 발언이 아마존뿐 아니라 다른 유통 및 전자상거래 기업 전반에 대한 정부의 압박이 커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신호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아마존과 중국의 패스트패션 대기업 쉬인 등은 미국 정부가 중국 본토와 홍콩에서 들어오는 소형 물품에 대한 '디 미니미스(de minimis)' 면세 혜택을 종료하기로 하면서, 최대 120%에 달하는 고율 관세에 대비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면세 혜택 종료 조치로 인해, 일정 금액 이하의 해외 직구 상품에 부과되지 않던 관세가 대부분 제품에 적용될 예정이며, 특히 의류·잡화 등 주요 수입 품목에 타격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미국 내 제조업 보호와 무역적자 개선을 노리는 트럼프 정부의 정책 기조에 따른 결정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수출 기업들은 800달러 미만의 상품이 관세 없이 미국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한 관세 면제 조치를 활용해 수익을 올려 왔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