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코로나19 이후 이스라엘 바이어 인터뷰(가전제품 및 화장품 수입 바이어)

글로벌이코노믹

전체기사

공유
0

코로나19 이후 이스라엘 바이어 인터뷰(가전제품 및 화장품 수입 바이어)

코로나19에 따른 경기위축으로 가전제품 수입감소, 온라인 판매에 주력

이동제한, 외출금지 등 봉쇄에 따른 화장품 수요 감소, 색조보다는 스킨케어 선호



이스라엘의 코로나 현황

이스라엘은 지난 2월 27일 이태리 여행에서 돌아온 부부를 첫 국내 환자로 기록한 이래 4월까지 하루 평균 100명 이하의 확진자 증가를 보였다. (2월 21일 일본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탑승객 중 양성 판정을 받아 귀국한 두 명은 국외 발병) 그러나, 4월 들어 일일 코로나 확진자 수가 400-500명 수준으로 증가하면서 이스라엘 정부는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7일간 이동 제한 명령을 내리는 한편, 약국 및 식료품점을 제외한 가게들의 운영 금지 명령을 발표하며 강력한 초동 대처를 단행했다. 그러다 4월 하순부터 하루 확진자 수가 50명 미만으로 줄어들자 정부는 학교 및 유치원의 운영 재개를 비롯해 코로나19 관련 규제를 단계적으로 완화하는 계획(7월까지 완전 해제 목표)을 준비하는 등 다소 느슨해진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6월 초 유치원, 학교 및 일반 경제활동 재개 이후 이스라엘의 일일 코로나 확진자 수가 다시 100명 이상으로 회귀하려는 조짐을 보이다 이내 곧 7월에는 일일 확진자 수가 천명을 넘어서며 2차 유행 상황을 맞게 되었다. 다급함을 느낀 이스라엘 정부가 7월 6일 코로나19 관련 추가 규제를 발표하며, 확산을 저지하려 안간 힘을 썼으나 이미 지역사회 깊숙한 곳까지 전파된 전염 속도를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9월 10일 현재 이스라엘은 하루 확진자 수가 3천명 수준으로 급증하였고, 전체 확진자 수도 14만 5천명을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현 상황이 지속될 경우 9월 중 추가 이동 제한 명령과 경제활동 전면 중단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 이스라엘의 가전제품 수입시장 현황

가전제품에 부과되는 구매세 및 관세 6-12% 폐지가 시행 되면서 2018년 이스라엘의 가전제품 수입 규모는 크게 증가했다 (전년도 대비 냉장고 12.6%, 세탁기 6.0%, 텔레비전 48.6%, 식기세척기 20.8% 증가), 발표 당시 한시적으로 폐지가 되었으며 2019년부터는 재 부과가 될 전망이었으나, 2019년 연정구성 실패에 따른 재 총선과 정부 미구성 등의 이유로 구매세 및 관세 폐지를 계속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2020년 4월 연정구성 이후에도 코로나19사태로 이스라엘 경제시장이 어려워지자 현 정부는 구매세 및 관세 폐지 정책을 계속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스라엘 주요 가전제품 수입동향
(단위: 백만달러)
품목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1-4월)
냉장고
266
297
323
364
344
110
세탁기
79
75
83
88
94
31
텔레비전
392
356
378
562
468
139
식기세척기
150
146
163
197
159
53
주: HS code 8418, 8450, 8528, 8422 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

이스라엘 가전제품 수입업체 인터뷰 내용

Q: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이스라엘의 가전제품 수입 동향은 어떤가?
A: 2020년 1-6월 이스라엘 가전제품 수입은 전년도 동기간 대비 냉장고 12.3%, 세탁기 7.3%, 텔레비전 2.2% 하락한 것으로 집계된다. 반면, 빨래 건조기 9.7% 식기세척기는 21.6% 증가했다. 이스라엘 가전제품 시장은 지난 2018년도 구매세 및 관세 폐지로 수입규모가 증가했다. 2020년코로나19사태로 인해 이동제한, 경제활동 봉쇄 등의 조치가 내려지면서 이스라엘 경기가 위축되어 가전제품 수입도 감소했다.

Q: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판매 동향은 어떤가?
A: 구매세 및 관세 폐지로 가전제품의 소비자가격이 500세켈(약 147달러) 이상 인하되면서 이스라엘 가전제품 판매는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지난 4월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한 정부의 이동 제한령, 경제 활동 봉쇄에 따라 가전제품의 매장 판매가 어려워졌다. 반면 온라인 판매가 증가했으나, 전반적인 가전제품 판매규모는 전년도 대비 다소 감소했다.

Q: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한국 제품의 판매 동향은 어떤가?
A: 한국 가전제품(Samsung, LG)은 이스라엘 시장 가격대가 높아 고급브랜드로 취급 받고 있어 판매점유율은 저렴한 중국산 및 터키산 대비 낮은 편이었다. 2018년 정부의 구매세 및 관세 폐지 정책 시행 후 한국가전제품의 가격이 인하되면서 판매율이 증가세를 보이며 인기를 이어갔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시장 위축으로 가전제품 판매가 감소하면서 한국 가전제품 판매 규모도 다소 하락했다.

Q: 코로나19 이후의 가전제품 시장은 어떻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하는가?
A: 코로나 사태로 일자리 수 하락 및 실업률 증가로 소비시장이 타격을 입었다. 이에 따라 가전제품의 판매 규모도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이스라엘은 2차 코로나 유행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코로나 이후 이스라엘에선 가전제품 매장 수는 줄어들고, 온라인 중심의 판매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2) 이스라엘 화장품 시장 현황

이스라엘 화장품 시장은 주 소비층의 사용 연령이 낮아지면서 수요 증가세를 보이며 온라인 시장의 급성장으로 화장품 구매가 편리해지면서 지난 2018년 최고 수입규모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된다. 2020년 코로나 사태로 전국민 이동금지령 및 경제활동 봉쇄로 의약품, 식료품 이외의 판매점 운영 금지 등의 정부 조치로 화장품 수요가 크게 감소하면서 수입 규모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스라엘 화장품 수입동향
(단위: 백만달러)
품목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1-4월)
스킨케어
80
88
98
109
108
29
아이메이크업
7
5
8
12
8
2
립메이크업
5
7
8
9
8
1
매니큐어
5
5
5
5
5
1
주: HS code 330499, 330420, 330410, 330430 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

이스라엘 화장품 수입업체(S사 인터뷰 내용 정리)

Q: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이스라엘의 화장품 수입 및 판매 동향은 어떤가?
A: 코로나19로 식료품 등 생필품이 아닌 품목들의 소비가 크게 하락하면서 화장품 수입도 크게 하락했다. 이스라엘 소비자들은 식료품, 생필품 및 의약품 외의 소비를 자제하고 있다. 코로나로 외출이 금지되고, 많은 이들이 직장을 잃거나 강제 휴직 상태로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화장품의 수요도 상당히 줄어들었다. 화장품의 필요성이 낮아지면서 판매 규모 및 수입 규모는 전년 동기간 대비 크게 줄어들었다.

Q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이스라엘의 한국 화장품 판매시장은 어떤가?
A: 이스라엘 화장품 판매규모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한국 화장품도 예외 없이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한국 화장품은 S매장에서 공식 판매된 지 불과 2년 정도에 불과해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지도가 높지 않은 상태라, 프랑스나 이탈리아 화장품 보다 판매규모가 크게 하락한 부분은 있다.

Q: 코로나19 이후의 화장품 시장은 어떻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하는가?
A: 정부의 봉쇄조치로 수개월간 매장 판매가 불가능해지자 온라인 판매가 증가했다. 앞으로 이스라엘의 화장품 판매는 온라인 판매를 중심으로 활성화 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사태로 온라인 구매에 익숙해진 현 소비자들은 더 이상 매장 방문을 선호하지 않고 있어, 락다운(lock down) 규제 완화에도 매장 판매는 줄곧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현 상황으로 보아 향후 이스라엘의 화장품 시장은 온라인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 여파로 외출이 줄어들고, 마스크 착용 등으로 메이크업의 필요성이 떨어지면서 메이크업 제품보다는 스킨케어나 트러블 라인, 마스크팩 쪽의 판매가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시사점

코로나19로 이스라엘의 전반적인 경제 산업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정부의 경제활동 봉쇄 조치로, 가전제품 및 화장품 시장도 타격을 입은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여파로 온라인 판매가 확대 되면서 다수의 업체들은 온라인 유통망 구축에 집중하는 것으로 보인다. 화장품의 경우 코로나로 외출이 줄어들면서 수요가 급격히 하락하고, 소비자 관심 제품이 변화하는 등 트랜드 변화가 엿보인다.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수입바이어 인터뷰, 텔아비브 무역관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