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신 3사는 1일 0시부터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6대 광역시 중심지 등에서 차세대 이동통신 5G 상용화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개시했다. 5G 전파는 전국 네트워크를 통해 서울, 경기도 성남·안산·화성·시흥, 6대 광역시, 제주도 서귀포시, 울릉도·독도(울릉군) 등 전국 13개 시·군 주요 지역으로 퍼졌다. 다만 이날 개시된 서비스는 기업용이다. 일반 고객은 5G 단말기가 나오는 내년 3월 무렵에야 체감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5G의 전송 속도는 20Gbps로 기존 4G LTE보다 최대 20배 빠르다.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양도 100배나 된다. 지연 속도는 1ms(0.001초)로 LTE 대비 100분의 1로 줄어든다.
통신 3사가 이날 서비스에 들어간 5G는 이동성이 보장된 모바일 동글 라우터(카드타입)라는 점에서 지난 10월 미 버라이즌이 시작한 서비스와는 차별화 된다. 통신사들은 5G 패키지를 기업들에게 판매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이번에 출시한 모바일 라우터는 기업 고객 대상 솔루션을 위해 출시한 것으로 5G-AI 솔루션과 함께 구입할 수 있다”며 “모바일 라우터만 별도로 판매하지 않으며 통상 솔루션 가격에 모바일 라우터 가격이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제조업 분야 기업 고객에게 먼저 5G 상용 서비스를 제공했다.
5G 스마트폰으로 연결된 5G 첫 통화는 분당에 있는 박정호 사장과 ‘세계 5G 1번지’ 서울 명동에 위치한 SK텔레콤 박숙희 매니저 간에 이뤄졌다. 통화에는 삼성전자 5G스마트폰 시제품이 활용됐다. 박 사장은 “5G 스마트폰을 통한 영상통화를 최초로 경험하게 되어 감개무량하다”며, LTE보다 월등히 선명하고 반응속도도 빠른 품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SK텔레콤은 분당 네트워크 관리센터 – 부산 해운대 / 대전 둔산동 / 광주 금남로 간 5G 통화에 차례로 성공했다. 또한 이날 오전 SK텔레콤의 5G 1호 고객사인 안산 반월공단의 명화공업은 ‘5G-AI 머신 비전’ 솔루션을 가동했다. SK텔레콤 5G자율주행차는 경기 화성 자율주행실증도시 ‘K-City’와 시흥 일반도로에서 테스트 운행을 시작했다. 차량은 5G로 1초에 수십 번씩 관제센터, 신호등과 주변 정보를 주고 받았다.
KT는 5G 인프라 구축의 첫 단계로 서울 등 수도권을 시작으로 전국 6대 광역시의 주요 인파 밀집 지역을 비롯해 제주도, 울릉도, 독도를 포함한 도서 지역까지 커버하는 5G 상용 네트워크를 선보인다.

LG유플러스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과 일부 광역시를 중심으로 5G 전파를 발사했다.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은 1일 자정 서울 마곡 사옥에서 주요 경영진들과 세계 최초 5G 전파 송출 행사에 참석해 첫 5G 전파 발사 점등식, 깃발 꽂기 세레머니 등을 가지고 새로운 5G 시대 선도를 향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노정용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