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KAIST, 저전력·고속 터널 전계효과 반도체 개발

글로벌이코노믹

ICT

공유
0

KAIST, 저전력·고속 터널 전계효과 반도체 개발

2차원 물질 두께 차 이용···기존 비해 대기전력 소모량 1만분의 1

KAIST팀이 연구과정에서 개발한 흑린 자연이종접합 터널 트랜지스터 (BP NHJ-TFET)와 이전까지 개발되었던 트랜지스터의 성능 비교. 저전력 트랜지스터의 2가지 Figure of Merit인 I60 (SS = 60 mV/dec에서의 On 전류)와 SS 모두 기존의 트랜지스터보다 월등히 좋은 값을 보여준다. 사진=KAIST 이미지 확대보기
KAIST팀이 연구과정에서 개발한 흑린 자연이종접합 터널 트랜지스터 (BP NHJ-TFET)와 이전까지 개발되었던 트랜지스터의 성능 비교. 저전력 트랜지스터의 2가지 Figure of Merit인 I60 (SS = 60 mV/dec에서의 On 전류)와 SS 모두 기존의 트랜지스터보다 월등히 좋은 값을 보여준다. 사진=KAIST
KAIST(총장 신성철)는 이 대학 조성재 물리학과 교수팀이 기존의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 대비 작동전력 소모량은 10배 이상, 대기전력 소모량은 1만분의 1에 불과한 저전력, 고속 반도체(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조 교수 연구팀은 2차원 물질인 흑린(black phosphorus)의 두께에 따라 밴드갭이 변하는 독특한 성질을 이용해 두 물질의 접합이 아닌 단일 물질의 두께 차이에 의한 이종접합 터널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이러한 단일 물질의 이종접합을 터널 트랜지스터에 활용하면 서로 다른 물질로 제작한 이종접합 트랜지스터에서 발생했던 격자 불균형, 결함, 계면 산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고성능 터널 트랜지스터의 개발이 가능하다.

김성호 연구원이 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Nature Nanotechnology)’ 1월 27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명 : Thickness-controlled black phosphorus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fro low-power switches).
무어의 법칙에 따른 트랜지스터 소형화 및 집적도 증가는 현대의 정보화 기술을 가능하게 했지만 최근 트랜지스터의 소형화가 양자 역학적 한계에 다다르면서 전력 소모가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을 맞고 있다. 무어의 법칙은 기술발전에 따라 반도체 기술의 집적도가 약 2년마다 배로 증가한다는 내용이다. 이제는 무어의 법칙에 따른 트랜지스터 소형화가 진행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 등의 등장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전력,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비메모리 반도체의 기술 발달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트랜지스터의 전력 소모는 크게 작동 전력 소모와 대기 전력 소모로 나뉜다. 작동 전력과 대기 전력을 같이 낮추기 위해서는 트랜지스터의 작동 전압과 대기 상태 전류를 동시에 낮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저전력·고속 터널 전계효과 반도체를 개발한 김성호 연구원(왼쪽)과 조성재 교수. 사진=KAIST이미지 확대보기
저전력·고속 터널 전계효과 반도체를 개발한 김성호 연구원(왼쪽)과 조성재 교수. 사진=KAIST


이를 위해서는 전류를 10배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전압으로 정의되는 SS 값(subthreshold swing, 단위: mV/decade = mV/dec)의 감소가 필요하지만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에서는 SS 값이 상온에서 60 mV/dec 이하로 낮아질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온에서 SS 값을 60 mV/dec 이하로 낮출 수 있는 새로운 트랜지스터의 개발 필요성이 지적돼 왓다.

이전에 개발되었던 낮은 SS를 가지는 저전력 터널 트랜지스터의 경우 트랜지스터 채널을 구성하는 두 물질의 이종접합 계면에서 산화막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작동 상태에서 낮은 전류를 가지는 문제가 있었다. 작동 상태 전류는 트랜지스터 작동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낮은 작동 상태 전류는 저전력 트랜지스터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

조 교수 연구팀이 적은 전력소모를 위한 낮은 SS 값과 고속 작동을 위한 높은 작동 상태 전류를 단일 트랜지스터에서 동시에 달성한 것은 유례없는 일로 2차원 물질 기반의 저전력 트랜지스터가 기존의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전력 소모 문제를 해결하고, 궁극적으로 기존 트랜지스터를 대체하고 미래의 저전력 대체 트랜지스터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조성재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의 어떤 트랜지스터보다 저전력, 고속으로 작동해 실리콘 기반의 CMOS 트랜지스터를 대체할 수 있는 저전력 소자의 필요충분조건을 최초로 만족시킨 개발이다”라며 “대한민국 비메모리 산업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기초 반도체 물리학 및 산업 응용에 큰 의의를 지닌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미래반도체신소자원천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이재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k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