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총선 D-7…네이버 '정보량' vs 카카오 '가독성'

글로벌이코노믹

ICT

공유
0

총선 D-7…네이버 '정보량' vs 카카오 '가독성'

양 포털 '총선 특집 페이지' 차별화로 승부
언론사 별 주요 선거 관련 기사 노출
여론 등 '민심 정보'도 함께 담아

네이버가 제공 중인 총선 특집페이지 화면. 사진=네이버이미지 확대보기
네이버가 제공 중인 총선 특집페이지 화면. 사진=네이버
국내 대표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유권자들의 눈길을 뺏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양 사는 운영 중인 총선 특집페이지를 통해 유권자들에게 선거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메인에 언론사를 앞세웠다는 점은 동일하나 네이버는 '정보의 양'으로 카카오 다음은 심플한 배치로 '가독성'을 높였다. 각 포털이 중점으로 내세우는 바가 명확해 이번 선거에서 누가 더 우위를 차지할 지 관심이 뜨겁다.
3일 IT업계에 따르면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네이버와 카카오의 '총선 특집페이지'를 향하는 유권자들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네이버는 언론사 별 주요 선거 기사를 전면에 내세웠다. 보다 많은 정보를 유권자가 접할 수 있게 하겠다는 의도다. 여기에 구독한 언론사가 있을 경우 '우선 노출' 기능을 지원해 개인 성향을 우선 시 했다는 점도 눈에 띤다.

하단에는 '민심'에 대한 정보가 담겼다. 언론사가 직접 조사·의뢰한 선거 관련 여론조사 기사가 슬라이드 형태로 노출된다. 역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율 및 역대 사전 투표율도 보기 쉽게 그래프 형태로 표시되고 있다. 선거 상식 및 Q&A 코너를 마련해 이번 선거가 처음인 초보 유권자들을 배려도 돋보인다.
선거 특집페이지에서 투표 마크를 표현한 스티커를 찾는 이벤트를 통해 유권자들과의 거리를 좁히고 접근성을 높였다는 점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 이번 총선을 맞이해 선거 특집페이지에서 투표 마크 스티커를 3회 찾는 경우 추첨을 통해 2000명에게 네이버 페이 포인트 5000원을 지급한다. 자사 총선 특집페이지 접속을 높이고, 네이버페이 서비스 이용을 더욱 활성화 하겠다는 것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네이버는 선거기간 동안 유권자들에게 보다 정확하고 공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총선 특별페이지 운영에 나섰다. 유권자들이 찾고자 하는 선거 관련 내용을 빠르고 다양하게 소비할 수 있도록 네이버가 할 수 있는 기술적, 정책적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카카오 다음에서 제공 중인 총선 특별페이지 화면. 사진=카카오 다음이미지 확대보기
카카오 다음에서 제공 중인 총선 특별페이지 화면. 사진=카카오 다음

양 사 모두 선거 관련 정보를 전달하겠다는 데 중점을 둔 것은 공통적이나 네이버는 정보를 '얼마나' 전달할지에 더 초점을 맞춘 반면 카카오는 정보를 '어떻게' 전달할 지에 무게를 뒀다. 네이버 총선 특집페이지 메인 화면에서 최대한 많은 언론사들의 주요 총선 기사를 볼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지만 오히려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빼곡한 글씨로 집중이 어렵다는 의견도 들을 수 있었다.

카카오의 경우 내용 배치에 여백을 둬 한층 편안한 디자인이 눈에 들어온다. 네이버와 동일하게 언론사 별 주요 선거 뉴스를 메인에 내세웠으나 슬라이드 형식으로 총 5페이지, 2개 언론의 기사를 노출해 상대적으로 눈이 피로하지 않은 디자인이라는 평이다. 카테고리에 들어가면 더욱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어 총선 특집페이지 디자인만 놓고 본다면 카카오의 손을 들어주고 싶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카카오 관계자는 "이번 총선 특집 페이지는 지역 매체 신규 입점을 통해 지역별 기사를 제공 중이다. 총선이다 보니 지역의 목소리를 더 듣자는 의미에서 구성하게 됐다. 또한 불공정 선거 보도 목록과 허위사실 및 비방, AI를 악용한 딥페이크 정보 등을 제공해 유권자가 보다 공정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도록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한편 4.10 총선의 재외선거 투표율은 62.8%를 기록하며 역대 총선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금까지 있었던 세 번 총선의 평균치에 20% 이상 높아진 수치이며, 이는 지난 대선의 71.6%에 근접한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편슬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yeonhaey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