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2021년 이후 3배 이상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최근 몇 년 동안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대거 압수한 주요 사건으로는 '실크로드(Silk Road)', '비트파이넥스(BItfinex) 해킹' 등이 있다. 실크로드는 설립자 로스 윌리엄 울브리히트(Ross william ulbricht)가 마약 등 불법 물품을 판매 및 경영하던 암시장 웹사이트였다. 2013년 7월까지 95만7079명의 이용자가 있었으며, 미국 달러 대신 비트코인으로만 거래할 수 있었다.
비트파이넥스 사건은 2016년 8월, 해커들이 유명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트파이넥스에 침입해 약 7200만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 약 12만 개를 훔쳤다. 그로부터 몇 년 후인 2022년 2월, 법무부는 도난당한 비트코인의 상당 부분(36억 달러 이상)을 회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도난당한 암호화폐 회수액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다.
이 밖에도 2017년 미국은 자금세탁 혐의에 대한 여러 기관의 조사 과정에서 BTC-e 거래소에서 400만 달러(현재 가치로 6000만 달러 이상 가치) 상당의 비트코인을 압수했다. BTC-e의 운영자로 추정되는 알렉산더 비닉은 체포됐다. 2020년에는 은행비밀법 위반 혐의로 비트멕스 거래소 설립자의 자산을 압류한 사건이 있었다.
미국 정부가 보유한 비트코인은 그 자체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정부가 해당 비트코인을 직접 판매하거나 경매 등을 통해 처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막대한 양의 비트코인이 시장에 쏟아져 나와 비트코인의 가격 하락, 나아가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매도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국내에서도 대검찰청이 수사를 통해 압수한 암호화폐를 암호화폐 거래소와 금융정보분석원(FIU) 등과 논의를 거쳐 검찰청 명의의 암호화폐 계좌로 송금하고 매각해 국고로 귀속시킨 바 있다.
이상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angho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