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카카오, 카카오톡·카나나에 챗GPT 접목…'AI 격차' 줄인다

글로벌이코노믹

카카오, 카카오톡·카나나에 챗GPT 접목…'AI 격차' 줄인다

오픈AI 협업 통해 'AI 격차' 줄인다
한글과 우리나라 가장 잘 아는 AI 개발
정신아 대표 "카카오 생태계, AI로 더욱 확장될 것"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4일 '미디어데이'를 갖고 카카오의 AI 전략에 대해 밝혔다. 사진=카카오이미지 확대보기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4일 '미디어데이'를 갖고 카카오의 AI 전략에 대해 밝혔다. 사진=카카오
카카오가 자체 인공지능(AI)를 개발하는 대신 오픈AI와의 협업을 확정하며 '지름길'을 택했다. 시간과 비용의 감축을 통해 AI 시장에서 벌어진 격차를 최대한 빠르게 극복하겠다는 행보로 읽힌다.

카카오는 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에서 자사의 AI 전략을 밝히는 '카카오 미디어데이'를 개최했다. 무대에 선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이날 미디어데이 발표에서 "카카오는 단순 서비스 제공에 그치지 않고 카카오의 전 생태계 통한 서비스를 개발 중에 있다. 카카오만의 경쟁력으로서 한글과 우리나라를 가장 잘 이해하는 AI를 개발하고 고도화 중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발전하는 AI 기술 생태계에서 최고의 모델을 제공해야 '차별적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남들이 모델 성능을 얘기할 때 카카오는 최고의 모델을 빠르게 확보해 최적의 AI 경험을 사용자에게 적용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오픈AI와의 협업을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오픈AI의 협업에 따라 카카오에서 제공하는 메신저, 커머스, 선물 등 다양한 서비스에 오픈AI의 챗GPT가 적용될 전망이다. 아울러 사용자가 AI 모델을 악의적으로 이용하거나 특정 검색 결과가 편향적으로 치우치지 않게끔 방지하는데도 치중해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이는 AI 기술 개발에 있어 안전, 신뢰성 확보가 더 이상 별개의 문제가 아니라는 오픈AI의 AI 철학과 맞물린다.
정 대표는 "오픈AI의 챗GPT는 성공적으로 구현된 서비스로, 카카오와의 성공적 시너지가 기대된다. 기술과 서비스 사업 등 다양한 범위에서 논의 시작하며 AI 부문에서 함께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자사의 AI 서비스를 통해 일상을 혁신하는 기술을 선보이겠다는 포부도 함께 전했다. 지난해, AI 메이트 카나나를 소개하며 사용자와 사용자를 연결하는 '초연결 사회'에 이어 모든 관계가 무제한으로 확장되는 '초개인화 사회' 또한 선보이겠다는 설명이다.

정 대표는 "모바일 시대에 카카오는 메신저, 커머스, 금융 등 전 국민의 일상 속에서 국내 최고 플랫폼 회사로서 숨 쉬듯 편하게 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AI 시대에도 카카오가 전하는 가치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며 굳은 의지를 표명했다.

한편 지난해 10월 카카오는 카카오AI캠퍼스에서 'if kakaoAI 2024(이프카카오 AI 2024)'를 개최하고 관계형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카나나를 소개했다. 당시 카카오는 AI와 사용자를 연결하는 서비스, 나보다 나를 더 잘 아는 'AI 메이트'로서 카나나에 대해 설명했다. 카나나의 특징은 사용자와의 단일 쌍방향 소통을 돕는 개인 메이트 나나(nana)와 사용자와 특정한 목적으로 대화방에 모인 이들을 위한 그룹 메이트 '카나(kana)'다.

나나는 사용자와의 1:1 대화를 포함, 그룹 대화 내용을 기억해 편의기능을 제공하며 카나는 그룹 대화 안에서 오간 대화만을 기억한다. 만약 장시간 자리를 비워 대화 내용을 놓쳤다면 '요약'을 부탁할 수도 있고 채팅방에 뒤늦게 들어와 앞선 대화 내용을 알 수 없다면 카나에게 설명을 부탁할 수 있다. 지난해 말 카카오는 사내에서 카나나의 베타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올해 상반기 내 정식 론칭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편슬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yeonhaey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