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KT, MS와 손 잡고 만든 '한국적 AI' 모델 공개

글로벌이코노믹

KT, MS와 손 잡고 만든 '한국적 AI' 모델 공개

KT, MS 'AI 투어 인 서울' 참가
한국적 AI 개념 담은 모델 전시
데이터 주권 확보 'KT SPC' 출시
KT-MS 협업성과 공유
KT가 26일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에 참가해 우리나라 산업 환경에 최적화된 클라우드, AI 모델 등의 다양한 ‘AX 솔루션’을 선보였다. 사진은 KT 직원이 AI 투어에서 한국적 AI의 개념을 담은 GPT4o기반 커스텀 모델을 소개하고 있는 모습. 사진=KT이미지 확대보기
KT가 26일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에 참가해 우리나라 산업 환경에 최적화된 클라우드, AI 모델 등의 다양한 ‘AX 솔루션’을 선보였다. 사진은 KT 직원이 AI 투어에서 한국적 AI의 개념을 담은 GPT4o기반 커스텀 모델을 소개하고 있는 모습. 사진=KT

KT가 26일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인 서울'에 참가해 한국 산업 환경에 최적화된 클라우드와 AI 모델 등 다양한 'AX 솔루션'을 선보였다. KT는 이번 전시를 통해 대한민국 AX(AI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를 주도하는 액셀러레이터로서의 비전을 제시했다.

한국적 AI 모델 개발

KT는 AI 투어 전시장 프리미엄 파트너 존 내에 KT 전시관을 마련하고 △한국적 AI의 개념을 담은 GPT4o기반 커스텀 모델 △보안을 강화한 퍼블릭 클라우드 ‘KT SPC(KT Secure Public Cloud)’ △탄소 배출량 산출 자동화를 위한 ‘탄소 배출량 관리 어시스턴트’ △클라우드 자원을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할당하는 ‘GPUaaS’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기반 업무 혁신 사례 △업무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대화 기반 AI 에이전트 ‘Works AI’까지 총 6종의 AX 솔루션을 전시했다.

KT는 또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GPT-4o 기반의 한국형 커스텀 모델을 개발 중이다. 이 모델은 한국의 역사, 철학, 사회를 기반으로 한 고품질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정서를 이해하고 일상 및 비즈니스 환경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가령, 한국 사회의 시대별 '부의 상징'에 대한 질문에 이 모델은 1960년대 한국의 경제 상황을 고려하여 "공무원이나 번듯한 회사에서 직장을 구한 것"이 부의 상징이었다고 답변했다. 또한, 영문 공고문 번역 시 "Home, Sweet Home"을 "내 집처럼 편안하게"로 자연스럽게 번역하는 등 문맥을 고려한 번역 능력을 보여주었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퍼블릭 클라우드 'KT Secure Public Cloud(KT SPC)'를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하이퍼스케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기존 퍼블릭 클라우드의 효율성을 유지하면서도 국내 법률과 규제, 기업 컴플라이언스 기준을 준수하여 높은 보안성과 데이터 주권을 확보했다.

KT SPC는 '사용 중인 데이터' 영역까지 암호화하며, 하드웨어 보안 모듈인 'managed HSM' 서비스와 고객 관리키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유출 시에도 암호 해제가 불가능하여 데이터의 전 생애주기 동안 강력한 보안성을 제공한다.

KT는 이 외에도 △탄소 배출량 변화 원인 분석 및 감축 가이드를 제공하는 '탄소 배출량 관리 어시스턴트' △전 직원 대상 도입으로 업무 혁신 경험을 공유하는 'M365 코파일럿' △GPU 없이도 AI 학습 및 추론이 가능한 인프라 서비스 'GPUaaS(GPU as a Service)' △업무 환경 혁신을 위한 AI 비서 'Works AI' 등 다양한 AX 솔루션을 선보였다

KT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마이크로소프트와의 긴밀한 협력으로 달성한 기술적 성과를 공유하고, KT 그룹의 AX 혁신 사례를 선보일 것"이라며, "국내 산업계 AX 가속화를 위한 고민을 해결하는 데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기업 내 IT 담당자 및 관련 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상세 설명회와 데모 시연도 진행됐다. KT는 또한 자사의 AI 마스터브랜드 'K intelligence(인텔리전스)'를 통해 대한민국 대표 AICT 기업으로서의 존재감을 전달했다.


이상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angho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