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제2의 테라·루나' 사태? 만트라, 1시간 동안 90% 폭락

글로벌이코노믹

'제2의 테라·루나' 사태? 만트라, 1시간 동안 90% 폭락

1시간 만에 90% 폭락
내부자 다량 매도 의심
'제2의 테라·루나' 공포 확산
재단 "폭락, 재단과 관계 無"
실물연계자산 블록체인 프로젝트 '만트라'의 OM 코인이 14일 새벽 삽시간에 90% 폭락해 의구심을 자아낸다. 국내에서는 코인원에 상장돼 국내 투자자들의 피해도 발생했다. 사진=코인원이미지 확대보기
실물연계자산 블록체인 프로젝트 '만트라'의 OM 코인이 14일 새벽 삽시간에 90% 폭락해 의구심을 자아낸다. 국내에서는 코인원에 상장돼 국내 투자자들의 피해도 발생했다. 사진=코인원
실물연계자산(RWA)에 특화된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만트라의 네이티브 토큰인 만트라(OM)가 밤사이 90% 이상 폭락하는 사태를 맞았다.

14일 새벽, 만트라 토큰은 개당 약 6.3달러에서 0.5달러 이하로 급락했다. 폭락 직전 만트라 토큰의 시가총액은 약 60억 달러(약 8조5600억원)이었으나 폭락 직후 6억 달러 수준이 됐다.

이 같은 폭락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다. 다만 만트라는 공식 X를 통해 "만트라는 근본적으로 강하다는 것을 말씀드린다. 오늘의 활동(토큰 가격 폭락)은 프로젝트와 관련없는 무모한 청산으로 인해 촉발된 것이다. 한 가지 분명히 말하고 싶은 것은 이번 일은 저희 팀의 소행이 아니라는 점이다. 현재 조사 중이며 가능한 한 빨리 자세한 내용을 공유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만트라의 이 같은 답변에도 시장의 의구심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만트라 관련 커뮤니티와 주요 암호화폐 커뮤니티에 해당 소식이 전해지면서 "만트라가 러그풀(Rug Pull·암호화폐 프로젝트의 개발자가 갑작스럽게 지원을 중단하고 투자자들에게 무가치한 토큰만 남긴 채 사라지는 사기 행위)했다"는 분노의 게시물이 줄을 잇고 있다.
만트라 공식 텔레그램에는 "제2의 루나 사태" "40억 달러 상당이 러그풀 됐다" "누군가 대량의 토큰을 판매한 것 같다. 조사 후 발표를 기다리자" 등의 글이 올라오며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블록체인 전문 매체 크립토티커(Cryptoticker)는 만트라 코인(OM)의 급격한 가격 하락에 대해 "만트라 프로젝트팀이 전체 유통량의 약 90%에 해당하는 토큰 할당량을 모두 처분했다는 의혹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암호화폐 전문가들도 비판의 날을 세웠다. 만트라 토큰(OM)이 90% 폭락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채 한 시간도 안 된 만큼 투자자들이 이에 대응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8조원대의 시가총액을 보유한, 제법 탄탄했던 프로젝트의 이 당혹스러운 폭락 때문에 일부에서는 "고의적인 시장 조작 혐의"로 거론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피해자가 적잖이 발생했다. 만트라(OM)는 국내 원화마켓 거래소 중에 코인원에 상장돼 있다. 14일 오전 9시 기준 직전 24시간 동안 약 3억5500만원이 거래됐다. 국내 투자자들도 하룻밤새 큰 피해를 입은 셈이다.

만트라 재단에 따르면 만트라(OM)는 실물‬‭연계자산(RWA)‬‭토큰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만트라 ‬‭생태계‬‭ 내의‬ 유틸리티‬‭ 토큰이다.‬‭ OM‬‭ 보유자들은 OM을‭ 검증자(Validator)에‬‭ 위임‬‭ 스테이킹해‬‭ 네트워크‬‭ 보안에‬‭ 참여하고‬‭ 보상을‬‭ 분배받을‬‭ 수‬ 있으며,‬‭ 만트라‬‭ 네트워크상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 수수료를‬‭ 지불할 수‬ 있다.


이상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anghoon@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