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IPTV 틀 깨고 교류, '오픈 밸류체인' 시동
AI·숏폼·FAST로 글로벌 확장 노린다
독점 아닌 산업 전체에 기여 목표
AI·숏폼·FAST로 글로벌 확장 노린다
독점 아닌 산업 전체에 기여 목표

KT가 자사 미디어 사업의 패러다임을 전면적으로 전환한다. 콘텐츠 전 밸류체인에 AI를 접목하고, IPTV 중심의 폐쇄적 구조를 넘어 '열린 미디어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16일 KT는 'KT 미디어 New Way' 전략을 발표하고, IPTV 플랫폼 '지니 TV'에 AI 기반 미디어 에이전트를 도입하는 등 디지털 콘텐츠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채희 KT 미디어부문장은 “KT는 위기를 기회로 보고 새 동력을 찾기 위한 고민과 도전을 이어가고 있다”며 “국내 미디어 산업 전반에서도 책임감을 갖고 방향성과 의지를 분명히 하겠다”고 말했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지니 TV에 대화형 LLM 기반 AI 에이전트를 상반기부터 탑재한다. '군대 배경의 유쾌한 드라마가 뭐였지?'와 같은 질문에 '신병' 시리즈를 추천해주는 식이다. AI는 장면 건너뛰기, 하이라이트 시청, 쇼핑 인사이트 분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향후 KT HCN 등 그룹사 전반으로 확산된다.
콘텐츠 제작 역시 AI 중심으로 재편된다. KT는 콘텐츠 전 과정에 AI를 적용하는 'AI 스튜디오 랩'을 출범시켰다. △흥행 예측 △보조 작가 △AI 음악 및 CG △숏폼 마케팅 등 기술 도입을 통해 제작 효율성과 품질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정근욱 KT스튜디오지니 대표는 “KT스튜디오지니는 'AI 제작 명가, 넥스트 IP 스튜디오'로 전환해 채널, 포맷, 글로벌 확장 전략을 본격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니 TV와 KT ENA 독점 공개 체계에서 벗어나 넷플릭스, 티빙 등 OTT와 동시 공개하는 방식으로 접근성을 높이고, '신병: 더 무비' 등 영화화 및 해외 제작도 진행할 계획이다.
숏폼 콘텐츠 시장도 정조준한다. KT는 KT스튜디오지니를 '숏폼 전문 스튜디오'로 포지셔닝하고, 약 20편의 국내외 공동 제작을 협의 중이다. FAST 채널 시범 운영도 상반기 중 실시하며, 글로벌 진출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신종수 전략본부장은 "KT는 기존 IP 기반의 독점 생태계가 아닌, 외부와의 교류를 통한 '오픈 밸류체인' 전략으로 IP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IPTV는 변화된 미디어 니즈를 가장 먼저 만족시킨 성공 사례"라며 "KT가 독점한 것이 아니라 업계 전체를 견인한 만큼, 이번 AI 기반 혁신도 산업 전체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