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주 교수 "실제보다 해킹 공포감 확산"
"계좌번호, 주소, 주민등록번호 유출 안 돼"
"유심보호서비스 가입만으로 충분" 주장
SKT, 조만간 로밍 이용자도 보호서비스 제공
"계좌번호, 주소, 주민등록번호 유출 안 돼"
"유심보호서비스 가입만으로 충분" 주장
SKT, 조만간 로밍 이용자도 보호서비스 제공

29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한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공포감에 떨 필요 없이 유심보호서비스에만 가입해도 국내 가입자는 충분히 대응 가능하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과거 스마트TV 위험성을 세계 최초로 시연하고, 국내 최초로 고등급 보안 운영체제 개발에 성과를 내는 등 정보보안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꼽히는 인사다.
그간 SK텔레콤 해킹으로 인해 유출된 정보는 가입자 고유번호와 전화번호, 가입요금제 등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는 "계좌번호나 주소,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는 유출되지 않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라고 말하며, SNS를 통해 "유심 정보가 유출되더라도 공동인증서와 OTP를 활용하는 우리나라에서는 금융거래나 신분증 위변조 등 2차 피해가 발생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김 교수는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하면 복제된 유심으로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할 때 효과적으로 차단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유심보호서비스는 유심 불법 복제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활용한 기기 변경을 탐지하고 막아주는 서비스다. 가짜 유심을 활용할 가능성 자체를 한 번 더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통신사는 동일한 유심 정보를 가진 기기가 동시에 접속하려고 하면 이를 즉각 탐지하는 보안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유심 위변조가 발생하더라도 실제 피해가 발생하기 전에 사전 차단하는 방식이다.
김 교수는 방송 출연 전 블로그를 통해 "사실 관계가 충분히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인정보 유출이나 금융 피해, 실시간 위치추적 가능성 등 극단적인 시나리오가 제기되고 있다"면서 "이는 사회불안감을 증폭시키고 효과적인 대응에 오히려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다만, SK텔레콤의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하려면 해외 로밍을 해제해야 한다. SK텔레콤은 5~6월 중 로밍 이용자도 유심보호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조치할 예정이다. 해외 로밍이 필요할 때는 공항 소재 매장을 방문해 유심 칩을 교체할 수 있다.
김승주 교수는 암호학·사이버보안 국내 최고 권위자로,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와 대통령직속 위원회 등에서 활약하고 있다. 현재 국가 보안 정책 혁신, 산업 보안성 평가, 보안 인재 양성, 대중 소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내 대표 보안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이상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angho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