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무늬만' 스마트 항만…AI·빅데이터 활용 요원

글로벌이코노믹

산업

공유
2

'무늬만' 스마트 항만…AI·빅데이터 활용 요원

공공기관과 해운사 간 협력 '삐그덕'에 '수년째 공염불'

스마트 항만 개념을 담은 해상운송 이미지. 사진=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미지 확대보기
스마트 항만 개념을 담은 해상운송 이미지. 사진=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정부가 올해 1월 '스마트 해상물류 체계 구축전략' 정책을 발표했지만 업계에선 '무늬만 스마트 해운항만' 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는 2년전 여러 보고서에서 지적한 '항만~내륙 물류망 연계' 개선방안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스마트 해상물류에 필요한 여러 관계기관과의 협력체계도 갖추지 않아 스마트 항만 조성이 여전히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달 3일 해운·항만산업을 스마트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제는 항만이 단순한 하역처리를 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선박과 항만, 그리고 물류 전 분야에 걸쳐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스마트 해운항만물류 시스템을 구축해 세계에 진출하는 기반을 마련하자는 얘기다.

해외 주요 항만들은 스마트항만 실현을 위해 자동화, 운영 효율화, 친환경 에너지전환 및 내륙운송 연계를 하고 있다. 네덜란드 로테르담항은 ‘SMARTPORT’ 조직을 설립하고 ▲물류 ▲에너지·산업 ▲항만인프라 ▲항만도시 ▲항만전략 등 5개 부문의 로드맵을 수립하고 45개 프로젝트를 포함한 로드맵을 수립해 스마트 항만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는 유럽의 자타가 공인하는 최고의 스마트 항만이다.
이에 비해 한국은 스마트 해운항만 구축을 위한 준비가 미흡하다. 항만, 해운은 물론 내륙 물류망과의 연계도 아직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2017년부터 스마트항만을 강조했으나 이에 따른 정책은 올해 1월이 돼서야 시작됐다.

국내 전문가들은 관련부처 정책이 발 빠르게 대응하지 못해 스마트 항만 출발이 늦었고 이에 따른 시설 조성도 미흡하다고 지적한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스마트 해상물류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항만과 내륙 물류망과의 연계가 급선무"라며 "정부 개선안에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이 없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해수부 관계자는 “스마트 해상물류는 2025년까지 인프라를 구축하고 2030년에 정책을 마무리하기로 돼있다"며 "초기단계에 부족한 부분을 서둘러 해결하겠다"고 해명했다.


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ini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