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2년 넘게 이어지면서 국내 항공업계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특히 국제선 여객 사업이 주 수입원이었던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은 말 그대로 벼랑 끝에 서 있다.
LCC가 올해 상환해야 할 차입금과 리스비용이 7440억 원 달한다는 점이 이를 증명한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정부는 오는 3월부터 항공업계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을 중단하기로 했다.
정부는 당초 1년에 최대 6개월까지 고용유지지원금을 지원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확산세 지속으로 어려움에 처한 항공업계에 지원 연장을 이어왔다. 하지만 올해 3월부터는 고용유지지원금을 받지 못하게 됐다. 현행 고용보호법상 원칙적으로 3년 연속 같은 달에 고용유지지원금을 받을 수 없어서다.
문제는 오랜 적자로 경영난이 심각한 LCC들이 최악의 경우 인력 구조조정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코로나19 직격탄에도 항공업계가 고용을 유지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 고용유지지원금을 꼽았다.
그러면서 지난해 상반기 항공업의 경우 지난해 상반기 6개 항공사 매출액은 2019년 상반기 대비 46.8% 감소했지만 고용은 4.8% 감소에 그쳤다. 특히, LCC 4개사 매출이 같은 기간 80% 감소하는 등 피해가 더 커 고용유지지원금이 중단되면 LCC 중심으로 대규모 구조조정은 불가피해 보이는 게 사실이다.
고용은 생존권이 걸린 중요한 문제다. 당장 고용 위기에 놓인 항공업계 근로자들 불안은 하루하루 커지고 있다. 항공사에는 객실·운항 승무원뿐만 아니라 수많은 분야에서 하청으로 일하는 노동자들이 상당하다.
항공산업은 한번 망가지기 시작하면 다시 복구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지금 항공산업을 외면하면 코로나 19 이후를 기약할 수 없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고용유지지원금 연장 등 항공산업이 버틸 수 있는 대책 마련에 힘써야 한다.
류으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frindb@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