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에 Mig-29·T-72 넘겨줘
브아쉬착 폴란드 국방 장관, 로템·KAI 생산공장 직접 방문
브아쉬착 폴란드 국방 장관, 로템·KAI 생산공장 직접 방문

9일 폴란드 현지매체들에 따르면 크지슈토프 플라텍 폴란드 군비청 대변인은 한국을 방문 중인 마리우시 브아쉬착 국방장관 일행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브아쉬착 장관 등 폴란드 국방장관 일행은 지난달 31일 K-2 흑표전차를 생산 중인 현대로템 창원공장을 방문했으며, KAI의 FA-50에 대한 관심도 드러냈다. 이에 따라 K-2 흑표전차와 FA-50의 폴란드 수출 여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폴란드 국방부가 K-2 흑표전차와 FA-50에 대한 구매의사를 나타낸 것은 현재 폴란드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우크라이나를 전격 지원하면서 전력공백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과 관련이 깊다. 또한 폴란드는 최근 국방현대화 전략에 맞춰 보유 중이던 구형 주력전차 대부분을 최신형 전차로 교체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먼저 보유 중이던 구형 러시아제 T-72 전차는 우크라이나에 기증하기로 결정했다. 2019년 UN보고서에 따르면 폴란드는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지난 4월부터 T-72 구형전차 230대를 순차적으로 넘겨주고 있다.
대신 폴란드는 미국으로부터 250대의 M1A2 에이브람스 전차를 받기로 했다. 우크라이나에 230대의 T-72 전차를 넘겨주고, 미국에서 250대의 M1A2 전차를 받겠다는 것이다. 폴란드가 인수하게 될 M1A2 전차는 기존 생산 모델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동시에 폴란드는 T-72 전차를 업그레이드한 PT-91 전차의 교체사업인 Wilk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230대의 PT-91 전차를 최신형 전차로 교체하는 사업이다. 해당 사업에는 미국의 M1A2 에이브람스 전차 업그레이드 모델과 독일 레오파르트2 최신예 전차, 그리고 현대로템의 K-2 흑표전차 폴란드 전략모델 등이 후보로 경합 중이다.
해외 방산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폴란드 Wilk프로그램의 유력 후보로 현대로템의 K-2 흑표를 지목하고 있다. 현존하는 3세대 전차 중 최정상급의 성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당장 생산에도 착수가 가능해 폴란드의 전력공백을 메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돼서다. 반면 미국과 독일은 자국 내 신형 전차 수요가 급증하면서 신형 전차의 수출이 제한될 것으로 예상됐다.
KAI의 경공격기 FA-50도 상황이 비슷하다. 폴란드는 보유 중인 Mig-29 전투기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해주기로 결정했다. 이에 항공 전력에도 공백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자 KAI의 FA-50을 구매해 이를 해결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특히 브아쉬착 폴란드 국방장관은 지난달 31일 KAI 사천공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36개월 이내에 FA-50의 성능개량 모델의 납품 가능성을 타진했다.
이밖에도 브아쉬착 국방관은 이미 운용 중인 K-9 자주포의 추가 수출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로템과 한화디펜스 측은 일단 폴란드의 구매의사를 반기면서도 계약에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는 분위기다. 국내 방산업체 한 관계자는 "통상 무기 수출의 경우 정부와 정부 간의 계약을 바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관련기업 입장에서는 계약이 완료되거나, 정부가 발표하기 전까지 수준에 대해 공개하기 어려운 입장"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현재 폴란드 정부가 적극적으로 K-2 전차와 FA-50에 대한 구매 의사를 보이고 있지만, 수주계약이 확정된 상황은 아니다"면서 "향후 가격과 생산 전략, 그리고 국익 등을 고려해 우리가 아닌 다른 국가의 방산업체를 선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계약이 확정되지 않은 만큼 폴란드의 결정을 기다려야 한다는 의미다.
서종열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eojy7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