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지난해 돈방석 앉은 정유사들, 합산 영업이익만 14조 넘었다

글로벌이코노믹

지난해 돈방석 앉은 정유사들, 합산 영업이익만 14조 넘었다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등 정유사 지난해 모두 호실적
합산 매출액 213조9900억원으로 전년 대비 65% 성장
지난해 4분기에는 합산 영업손실 1조932억원 기록
국내 정유사 실적 그래프이미지 확대보기
국내 정유사 실적 그래프
SK이노베이션·GS칼텍스·현대오일뱅크·에쓰오일 등 국내 정유사들이 지난해 호실적을 거뒀다. 합산 영업이익이 14조원을 넘었다. 올해는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높은 수준의 정제마진 등으로 예년 수준의 실적이 예상된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4대 정유사들의 합산 매출액은 213조9900억원, 영업이익 14조1762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65%, 영업이익은 101% 상승했다.

전날 실적을 발표한 GS칼텍스의 경우 매출액 58조5321억원, 영업이익 3조9795억원을 달성했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69.4%, 영업이익은 97.1% 늘었다. SK이노베이션은 같은 기간 매출액 78조569억원, 영업이익 3조9988억원으로 전년 대비 66%, 129%가 늘었다. 현대오일뱅크는 전년 대비 각각 70%, 144% 늘어난 34조9550억원, 2조7898억원을 기록했다. 에쓰오일 전년 대비 각각 55%, 59% 증가한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정유업계의 이같은 호실적은 지난해 1~2분기 유례 없는 실적을 달성한 것이 큰 역할을 했다. 정제마진 상승, 고유가 등이 함께 맞물린 결과였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해 정유업계의 실적은 정제마진 강세 확대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유가 상승, 계절적 성수기 진입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린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를 두고 일부 정치권에서는 '횡재세' 도입을 주장하기도 했다. 횡재세는 일정 기준 이상의 이익(초과 이익)을 낸 기업에 부과하는 세금을 말한다. 즉 기대 이상의 호실적을 달성한 정유업체를 대상으로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는 것이다.

올해 역시 성장이 예고된다. 특히 중국의 리오프닝으로 인한 수요 증가가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로이터는 "중국의 코로나19 규제 해제로 올해 전 세계 원유 수요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라며 “중국은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전 세계 수요 증가의 거의 절반을 주도할 것”이라고 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소비 심리가 회복된다면 실제로 수요 회복을 기대해 볼 수 있다"며 "실제로 수요 증대까지 이어진다면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제마진도 손익분기점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 중이다. 정제마진은 휘발유와 경유 등 석유 제품 가격에서 운영비용과 유가 등 원자재 비용을 뺀 수치다. 2월 둘째 주 싱가포르 복합 정제마진은 배럴당 7.2달러다. 전주(9.7달러)대비 2.5달러 떨어졌지만, 손익분기점(4~5달러)보다 높은 수준이다.

한편 국내 정유사들의 지난해 4분기 정유사업 실적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적자로 돌아섰다. GS칼텍스는 1919억원, SK이노베이션은 6612억원, 현대오일뱅크는 605억원, 에쓰오일은 3796억원의 영업손실이 났다. 합산 영업손실액만 1조2932억원이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