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술(IT) 산업과 거리가 있던 건설사까지 데이터센터 건설에 뛰어들고 있고, 정부가 수도권에 집중한 데이터센터의 지방 분산 유도 정책을 펴면서 지역의 데이터센터용 전력과 부지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실제로 이들 데이터센터가 건설되면 사용 전력 규모는 3500㎿로 원전 5기를 가동해야 생산할 수 있는 전력량에 해당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강원도 내 데이터센터 건립을 목표로 전기 사용 신청서를 제출한 데이터센터는 4곳으로, 이들의 전력 사용 규모는 360㎿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신청서를 제출한 해당 센터의 전력 사용 규모는 춘천에 있는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춘천(사용 전력량 40㎿) 9개를 새로 짓는 것과 같다. 이 같은 데이터센터 건립 경쟁이 강원도에서 벌어지고 있다.
한전 경남본부도 다음 달 데이터센터 유치전에 나선다. 각 지자체나 한전 지역본부에서는 데이터센터 건설 수요를 따내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하지만. 데이터센터 업계에서는 정부의 지역 분산 정책에 따른 고객 이탈이나 인력 충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송준화 한국데이터센터에너지효율협회 사무국장은 “고객사가 지방에 있는 데이터센터를 선택할 요인이 필요하다”며 “네트워크 전용선 같은 인프라가 수도권 외 지역으로 가면 회선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운영 인력 부족 현상이 수도권에서도 발생하는 상황에서 지방에 건립되는 데이터센터는 전문인력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게 업계의 설명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안으로 클라우드 산업 종합 지원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과기부 한 관계자는 ”데이터센터 운영업체가 수도권 외 지역에서도 직원 충원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인력 양성 지원사업을 검토 중“이라며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전력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적 방안에 관한 연구개발도 착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남상인 글로벌이코노믹 선임기자 baunam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