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수첩] 영농형 태양광, 초기 태양광 사업과 다르다

글로벌이코노믹

산업

공유
0

[기자수첩] 영농형 태양광, 초기 태양광 사업과 다르다

산업부 김정희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산업부 김정희 기자
농지에서 농작물과 전력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영농형(營農型) 태양광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사업 추진 자체가 쉽지 않다. 아직 "태양광은 환경파괴의 주범, 자연경관을 해친다" 등의 부정적인 여론이 더 많은 것이 이유다. 여기에 최근 정부가 발표한 조사로 인해 태양광은 비리의 온상으로도 떠올랐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추진된 태양광 사업에서 5824억원의 위법 사례가 적발됐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좋지 않은 여론에 기름을 부은 것이다.

사실 태양광은 중요한 신재생에너지다. 탄소중립,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등을 추진하는 데 가장 나은 에너지원으로 꼽힌다. 최근 만난 태양광 전문가도 "태양광의 경우 무한한 에너지를 가졌고 탄산가스를 배출하지 않으며, 에너지 자립이 가능한 신재생에너지"라고 말했다. 특히 영농형 태양광의 경우 우리나라 태양광산업 발전에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 대비 국토가 좁고 전 국토의 70%가 산지여서 일반 육상 태양광 발전소를 지을 땅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기존 땅인 농지를 활용해 재생에너지 사업을 할 수 있는 영농형이 최적의 방안이자 최선의 선택이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앞서 밝힌 것처럼 초기 태양광 사업이 추진될 때 생겨났던 부정적 이미지가 영농형에도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때의 태양광과 지금의 영농형은 다르게 봐야 한다. 영농형 태양광의 경우 농촌 경제 활성화와 재생에너지 보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아울러 농촌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을 줘 지방 소멸을 막을 방안으로도 떠오르고 있다. 올해 국내 전력 가격을 기준으로 100kW(킬로와트) 규모의 영농형 태양광을 운영할 경우 연간 약 3000만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식량 문제, 에너지 안보 등을 두루 해결할 방안으로도 꼽힌다.

탄소중립 달성은 이제 현실이 됐다. 미룰 수도 없고 더 늦어져서도 안 된다. 그 중심에 태양광이 있다. 영농형 태양광이 가지는 이점을 정부가 직접 나서 알릴 때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