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현지시각) 리시 수낵 영국 총리는 기자회견을 열어 휘발유와 경유를 쓰는 신차 판매 금지 시기를 2030년에서 2035년으로 늦춘다고 발표했다.
그는 ‘2035년 판매 금지’는 유럽연합(EU)과 같은 일정이라며 기존의 기후 변화 대응 목표는 가계에 “감당하기 어려운 부담”을 준다고 지적했다. 사실상 전기차 ‘속도 조절’을 공식 선언한 것이다.
유럽은 전기차가 가장 빠르게 늘어난 곳이기도 하다. 실제 지난 6월 신차 판매 중 전기차 비율이 15.1%로 디젤차(13.4%)를 처음으로 앞섰다.
내연차 퇴출로 일자리 감소를 우려하는 자동차 산업 종사자들의 반발, 각국의 전기차 보조금이 줄어들고 내연차보다 30% 안팎 가격이 비싸 판매가 주춤한 상황, 전기차 개발에 필요한 대규모 투자 부담,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데서 오는 불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지난 15일부터 미국에서는 전미자동차노조(UAW)가 일자리 감소 우려 등을 이유로 GM(제너럴모터스) 등 미국 ‘빅3′를 상대로 부분 파업에 돌입했다. 자동차 종주국으로 꼽히는 독일이나 프랑스 등에서도 “전기차 경쟁력이 강한 중국에 자동차 시장을 내줄 수 있다”며 전기차 전환 속도를 늦추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자동차 회사 입장에서도 전기차를 팔아서 수익을 남기기 어렵다. 막대한 투자가 필요한데, 수익이 날 만큼 규모의 경제는 실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뿐 아니라 최근 전기차 판매 증가세마저도 주춤하고 최근 중저가 전기차를 앞세운 중국 기업에 그나마 있는 전기차 시장까지 잠식당하고 있다.
실제로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판매 대수가 감소하면서, 전기차 부품 공급 축소설, 전기차 할인 판매 실시 등 전기차 성장세 둔화를 드러내는 신호가 여럿 확인되고 있다.
김보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amtollee123@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