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업계 고위 임원들은 배터리 및 재생 에너지 제품에 사용되는 주요 광물의 수요 증가가 투자자들 사이에서 공급문제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제한되고 있다고 전했다. 허가 문제, ESG 압력, 지정학적 긴장은 공급 대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많은 정부와 투자자들이 예상보다 더 오랜 시간을 소요시키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호주가 정치적, 규제적 어려움에 직면한 동안 사우디아라비아와 미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은 공공 투자 수단과 세금 인센티브를 활용하여 자체 개발을 촉진하고 있다.
펀드 매니저들은 허가 절차의 복잡성으로 인해 자본 배분이 어렵고 승인 절차를 탐색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 신규 공급을 장려하는 정부의 분명한 정책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압둘라만 알 벨루시 광업지원부 차관은 "3~4년 전만 해도 채굴업자에게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자본 비용이 높아져 경쟁이 매우 치열해졌다"면서 "우리가 한 일은 채굴 기금을 설립하여 채굴 부문에서 발생하는 모든 로열티를 채굴 부문에 다시 돌려주는 것이며, 이 기금을 에너지, 수도관, 물류 지원 및 생태계 역량 강화에 할당했다"고 말했다.
호주 주 정부는 공공 예산의 압박으로 인해 로열티를 인상하면서 광산에서 더 많은 수익을 고려하고 있다. 또한 호주자원회사인 BHP는 석탄 사업에서 더 빨리 철수하고 해당 지역에 다른 투자를 재검토 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소법과 국방 생산법에 따라 중요 광물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호주 연방정부는 중요 광물목록을 확대하고 광업과학기술과 광물가공에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검토 중이다.
호주 연방정부는 현재 26개에 불과한 중요 광물목록을 확대하기 위해 검토 중이다. 국가 재건 기금에는 광업과학기술과 광물가공을 위한 10억호주달러(약 8404억원)가 포함되어 있어 호주의 광물 가치 사슬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플레이션과 프로젝트 개발 비용 증가에 직면한 소규모 광산업체와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한 대기업 간의 통합이 활발해질 전망이다. 특히 인건비가 많은 프로젝트의 경우 대기업들이 인수를 통한 비유기적 성장으로 나아갈 것으로 보인다.
김진영 글로벌이코노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