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지난해 삼원계 배터리용 양극재 출하량 1위 에코프로"

공유
1

"지난해 삼원계 배터리용 양극재 출하량 1위 에코프로"

엘앤에프, LG화학 등 국내 양극재 업체 순위권에 들어

충북 청주에 위치한 에코프로 본사 전경. 사진=에코프로이미지 확대보기
충북 청주에 위치한 에코프로 본사 전경. 사진=에코프로
지난해 삼원계 배터리 양극재 출하량에서 국내 양극재 제조업체인 에코프로가 1위에 등극했다. 엘앤에프, LG화학 등도 순위권에 올랐다.

17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가 발간한 '리튬이온배터리(LIB) 4대 소재 분기별 시장과 공급망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리튬이차전지 양극재 수요량은 219만t, 양극재 출하량은 294만t으로 집계됐다.
이 중 리튬, 코발트, 망간 등에 니켈이 더해진 삼원계 양극재 업체들의 출하량을 살펴보면 에코프로가 12만t을 출하하며 1위에 올랐다. 2위는 9만9500t을 출하한 중국 롱바이였다. 중국 화유코발트의 양극재 자회사인 B&M(9만5000t), 엘앤에프(8만6000t), LG화학(7만4000t)이 뒤를 이었다.

1분기에는 중국 롱바이가 2만6000t을 출하하며 1위에 올랐다. 지난해 1위였던 에코프로는 2만5000t을 출하해 2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출하량은 중국 업체들이 모두 순위권에 올랐다. 중국 후안 위넝이 13만6000t 출하로 1위에 올랐다. 다이나노닉 21만4000t, 허베이완룬 16만4000t, 로팔 10만7000t, 롱통 9만8100t 등이 뒤를 이었다.

롱바이는 중국 CATL에 하이니켈 NCM 양극재를 공급하고 있고 에코프로는 국내 배터리 셀 제조업체 삼성SDI와 SK온에 양극재를 공급하고 있다.

SNE리서치는 "1분기에는 양극재 업체 메탈가 하락과 리튬 가격 급락으로 매출, 영업이익 하락 추이가 이어지고 있다"며 "전기차 생산, 판매 둔화에 양극재 업체도 생산, 증설 속도도 늦춰 해외 진출 연기 등 속도 조절에 들어간 모습"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반면 중국은 LFP 시장 강세 지속 중국 양극재 업체들의 과잉생산 우려 속 LFP 생산능력 확대와 해외 진출 확대 시도가 눈에 띈다"며 "향후 삼원계 양극재는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 개발과 생산 확대가 예상되고 LFP는 올해 초 중국 CATL, BYD 등의 신규 제품 개발과 양산 발표가 속속 이어지고 있어 기술과 가격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