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이제 좀 괜찮아지나 했는데”…파업사태 맞이한 삼성전자 ‘진퇴양난’

공유
0

“이제 좀 괜찮아지나 했는데”…파업사태 맞이한 삼성전자 ‘진퇴양난’

전삼노, 855명의 높은 인금 인상률·EVA 방식 OPI 제도 개선·유급휴가 이행·파업으로 인한 임금 손실 보상 요구
파업 확대 시 신제품 대응·생상능력 저하 불가피…기존 직원들과 형평성 문제로 요구사항 받아들이기도 힘들어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5월 29일 삼성전사 서초사옥앞에서 파업을 결의하고 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5월 29일 삼성전사 서초사옥앞에서 파업을 결의하고 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 반도체 패권 전쟁을 벌이고 있는 삼성전자에 '노동조합 파업 리스크'라는 최대 난제가 놓이게 됐다. 1일 최대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이 총파업을 전격 결의했다. 지난해 반도체(DS)부문에서 15조원의 적자를 기록하다 이제 막 회복 국면에 들어선 삼성전자로써는 뼈아픈 상황이다. 노조의 파업 결의는 글로벌 반도체 경쟁에 나선 삼성전자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전삼노는 총파업 결정에 따라 구체적인 지침 마련에 돌입했다. 전삼노 측이 결정한 집회장소는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H1 정문 앞 도로다. 전삼노는 오는 8일부터 10일까지 이장소에 모여 집회를 벌일 것으로 예고했다.
전삼노측이 요구하고 있는 조건은 △24년도 기본 임금인상률 3.0%를 거부한 855명의 높은 인금 인상률 적용 △EVA 방식 초과이익성과급(OPI) 제도 개선 △유급휴가 이행 △파업으로 인한 임금 손실 보상 등이다. 삼성전자는 전삼노 측과 지속적인 대화를 진행해왔으나 전날 전영현 삼성전자 DS부문장(부회장)과의 막판교섭에서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총파업을 선언했다.

문제는 삼성전자의 반도체와 가전부문이 위기에 처하게 됐다는 점이다. 가전산업은 신제품 도래 주기가 최소 6개월에서 1년으로 한 달만 파업이 이어져도 신제품 생산에서 뒤쳐질 수 밖에 없다. 신제품 출시가 지연되면 소비자들이 다른 회사제품을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점유율에서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공급망 측면에서도 문제가 된다. 삼성전자가 TV를 비롯해 각종 가전기기분야에서 전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배경에는 무노조를 바탕으로한 글로벌 생산능력이 있다. 신제품을 빠르게 대량 생산해 전세계에 공급함으로써 글로벌 판매량 1위를 차지할 수 있었지만 생산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국내 공장 운영에 차질이 생길 경우 글로벌 공급망도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회복국면에 있는 반도체부문도 어렵긴 마찬가지다.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으로 수요가 늘면서 반도체분야의 수요가 폭증하고 있지만 삼성전자는 현재 상황을 위기상황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메모리반도체부문에선 SK하이닉스에 밀려 고대역폭메모리(HBM)분야에서 2위에 머물러 있고 파운드리부문에선 1위기업인 대만의 TSMC와 격차가 더 벌어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통으로 알려진 전영현 부회장을 새로운 DS부문장에 임명했지만 전 부회장이 새로운 시도를 하기도 전에 총파업이라는 암초를 만난 것이다. 사실상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전삼노의 요구사항을 일방적으로 받아들이기도 힘든 상황이다. 전삼노는 사측이 제시한 임금인상률을 거부한 855명에게만 다른 임금인상률 인상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받아들일 경우 기존 직원들과의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안 좋은 선례를 남길 수 있다는 점도 노조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게 만들고 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