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업무 복귀했지만”…새 국면 맞이한 삼성전자 노사, 향후 전망은

글로벌이코노믹

산업

공유
0

“업무 복귀했지만”…새 국면 맞이한 삼성전자 노사, 향후 전망은

전삼노, 1노조와 합병으로 최대 규모 노조 노려…대표교섭권 확보 위한 포석
대표교섭권 결정까지 총파업보다 축소된 규모 활동 이어질 듯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 조합원들과 인권시민단체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반올림) 직원들이 5일 경기도 기흥 나노파크에서 산재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은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전삼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 조합원들과 인권시민단체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반올림) 직원들이 5일 경기도 기흥 나노파크에서 산재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은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전삼노

삼성전자 노사 문제가 노조원들이 총파업 25일 만에 현업에 복귀하면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은 노조 간 통합으로 덩치를 키우고 게릴라식 부분파업 등 기존과 다른 변화된 방법으로 활동을 이어나간다는 전략이다.

전삼노는 5일 경기도 기흥 나노파크에서 인권시민단체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반올림)와 산재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전삼노는 반도체 관련 산재 신청을 비롯해 재해자가 더 쉽게 지원받을 수 있도록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전삼노의 이 같은 활동은 대내외적 협력으로 노조의 발언권을 높이고 반도체 생산 현장의 산업재해문제와 관련해 삼성전자와의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고수하기 위한 전략인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전삼노는 5일 종료되는 삼성전자와의 대표교섭권 확보에도 나선다. 6일부터 전삼노의 대표교섭권이 상실됨에 따라 전삼노를 포함한 5개 노조는 삼성전자와 개별 교섭하거나 다시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전삼노는 대표교섭권을 재확보하고자 삼성전자 1노조인 사무직노동조합과의 통합을 추진 중이다. 전삼노가 사무직노동조합과 통합에 성공할 경우 최대 규모 노조로 발돋움할 수 있다.

지난달 경기도 화성시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앞에서 열린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 총파업 결의대회에서 조합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지난달 경기도 화성시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앞에서 열린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 총파업 결의대회에서 조합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표교섭권을 얻기 위한 노조 간 투표에 3~4개월 정도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당분간 전삼노의 활동은 기존과 같은 규모의 총파업에서 다소 축소된 활동이 될 가능성이 높다. 대표교섭 지위가 사라지면서 파업을 결정할 수 있는 파업쟁의권도 상실되기 때문이다.

전삼노가 대표교섭권을 재확보할 수 있을지 여부도 불투명하다. 삼성전자 노조는 △사무직노조(1노조) △구미네트워크노조(2노조) △삼성전자노조 동행(3노조) △전삼노(4노조) △삼성그룹 초기업노조 삼성전자지부(5노조·옛 DX노조) 등으로 전삼노와 1노조가 통합하게 되면 4개로 줄어든다.

전삼노의 파업 활동에 다른 노조들은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지 않았지만 동행 노조는 지난달 말 사내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지금은 잘 보이지 않는 강성 노조의 힘은 앞으로 우리의 발목을 잡고 실망만 안겨줄 것"이라며 전삼노를 비판한 바 있다. 전삼노와 동행 노조 간 의견 차이가 전삼노의 대표교섭권 재확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두고 봐야 할 대목이다.

이러한 가운데 삼성전자는 파업으로 인한 생산 차질이나 문제는 없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전화회의)을 통해 “고객 물량 대응에는 전혀 문제가 없고, 노조 파업이 지속되더라도 경영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전삼노는 지난달 총파업을 결의한 뒤 임금인상률을 주요 쟁점으로 두고 삼성전자와 지난달 말 3일간의 집중교섭을 진행했다. 하지만 노사 간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고 결국 합의에 실패한 바 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