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업계에 따르면 SK그룹은 급변하고 있는 대외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방책으로 이사회 중심의 경영 강화 방안을 내놨다. 각 관계사 이사회의 역할을 '경영진에 대한 관리·감독'으로 강화하는 '이사회 2.0'을 도입하기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가 소속된 SK그룹은 트럼프 후보의 미국 대통령 당선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유력한 칩스법(반도체 지원법) 등에 대한 대응책 등을 그룹 차원에서 논의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법원이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 소송 상고심 심리를 이어가기로 결정하면서 그룹 경영을 위한 시간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삼성전자도 오는 2026년 가동을 목표로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반도체 파운드리 공장을 건설 중인데 미국 상무부로부터 총 64억 달러의 보조금이 결정된 바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완공률은 이미 59.7%를 넘어선 상태로 당초 약속된 지원금이 축소되거나 수령하지 못할 경우에도 삼성전자는 공장 건설을 되돌릴 수 없는 상황이다.
반면 파운드리 업계를 주도하는 대만의 TSMC는 대응책을 마련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최근 TSMC는 중국 기업들에 “오는 11일부터 7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이하 인공지능(AI) 반도체 주문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통보한 데 이어 12월에는 TSMC가 미국 애리조나에 건설 중인 첫 번째 공장의 완공식을 개최한다는 방침이다.
TSMC는 이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기 전 보조금 수령을 노리고 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지난주 TSMC는 미국 상무부와 반도체 공장 건설 보조금·대출에 대한 구속력 있는 협상을 마쳤을 것으로 추측되는 가운데 공장 완공식을 통해 미국 정부의 보조금을 수령한다는 계획이다. TSMC의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반도체 관련 법안으로 인한 보조금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은 새롭게 들어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을 예상하기 어렵다”면서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열어놓고 대응책을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