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재계에 따르면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와 미국상공회의소(미국상의)는 10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한미재계회의를 개최했다. 2020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중단된 지 5년 만의 모임이다. 비슷한 시간 한국에서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방한 중인 케빈 스팃 오클라호마주 주지사가 면담했다. 정인교 산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도 만나 통상 환경 변화 영향과 외국인 투자 유치 등을 논의했다.
정치적 리더십 부재 우려는 차기 미국 행정부를 이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등장과도 맞물렸다. 트럼프 당선인은 관세와 수출통제 등 무역장벽을 지금보다 더 높이고 우방국과의 관계를 ‘돈거래’ 중심으로 다룰 것이 예상된다. 미국에 제조업 기업들의 생산시설 등 직접투자 요구도 늘어날 전망이다.
사업장 규모가 크지 않은 수출기업은 대기업·경제단체들과 달리 대미 네트워크가 부족하므로 정부의 역할이 더 절실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올해 1~11월 기준 대미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가량 증가한 1159억 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1위를 달성했다.
허준영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지금이 트럼프 당선인과 관계를 형성해 향후 협상 테이블에서 조금이라도 손해를 덜 볼 조건을 만들어갈 ‘골든 타임’이지만, 한국은 현재 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으로 골든 타임을 놓치고 있다”며 “(미국이 강조하는) 헌법 질서에 따라 정치적 불안정을 해소한 뒤 통상 가이드라인 마련과 특사 파견 등으로 통상외교 정책을 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기업은 생산 지역 등을 조정하거나 자체 네트워크를 동원해 어느 정도 대응이 가능하지만 한국 수출기업의 다수를 차지하는 50인 미만 고용 기업들은 대응 방안이 마땅치 않아 정부의 역할이 더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