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탄핵 정국 이후 의회-재계 회동서 한경협 '연이어 패싱'

글로벌이코노믹

산업

공유
0

탄핵 정국 이후 의회-재계 회동서 한경협 '연이어 패싱'

국회-경제단체 소통 이어져
한경협은 잇달아 배제
2016년 국정농단이 계기
올해 달라진 한경협 위상 고려해야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한국경제인협회(FKI) 사옥 앞의 모습.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한국경제인협회(FKI) 사옥 앞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탄핵 정국 이후 주요 경제단체들이 의회와 소통하는 자리에서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올해 들어 4대 그룹의 회비 납부가 가시화된데다 한미·한일 재계 간 소통을 주도하는 등 한경협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데도, 국정 농단 사건 때문에 한경협을 '패싱'해온 입법부의 마음을 아직 돌리지 못한 것이다.

17일 정치권과 재계에 따르면 이날 우원식 국회의장이 서울 여의도 국회의장실로 경제단체를 초청한 간담회에서 한경협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았다. 이 자리에는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윤진식 한국무역협회 회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이 참석했다.
다른 경제단체들은 의회와 잇달아 소통하고 있다. 최 회장은 9월 초 국회에서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대표,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각각 면담했다. 11월 초에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행사를 계기로 여야 주요 인사들을 만났다. 지난 12일에는 김기문 회장과 손경식 회장,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장이 국회에서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만났다.

반면 정부 측이 마련한 간담회에는 한경협이 초청받고 있다.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은 전날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 겸 경제부총리가 서울 중구 대한상의에서 주재한 경제6단체 간담회에 참석해 외환시장 안정화와 외국인 투자 인센티브 마련 등의 의견을 전달했다. 최 부총리가 지난 4일 주재한 간담회에도 한경협은 빠지지 않았다.
입법부의 한경협 패싱은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국정 농단 사건에서 비롯됐다. 당시 한경협의 전신인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국정 농단 사건에 관여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며 여론이 악화됐다. 삼성과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뿐만 아니라 중견기업들까지 전경련에서 탈퇴했다. 문재인 정부도 국정 농단 사태로 전경련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이후 SK그룹을 이끄는 최 회장이 2021년부터 대한상의 회장을 맡으면서 재계 입장을 전달해왔다.

하지만 올해 하반기부터 한경협이 과거 위상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4대 그룹의 재가입이 현실화된 것이 대표적이다. 현대차그룹과 SK그룹의 주요 계열사들이 회비 납부를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의 경우 8월 준법감시위원회가 삼성전자 등 계열사 4곳에 회비 납부를 사실상 승인했다.

국내 현안부터 민간 외교에 이르기까지 재계의 맏형 역할도 되찾은 모습이다. 한경협은 지난달 21일 상법 등 각종 법안에 대한 우려를 담은 '주요 기업 사장단 긴급 성명서'를 발표하는 자리를 주도했다. 10월에는 한경협과 일본 경제단체연합회(게이단렌)가 한일재계회의를 개최해 내년 한·일 수교 60주년 준비를 논의했다. 이달 10일(현지 시각)에는 미국 워싱턴DC에서 미국상공회의소와 한미재계회의를 열고 양국 간 협력 메시지를 냈다.

여전히 입법부와 한경협 간 소통 재개 여부는 불투명하다. 한경협은 입법부와 재계 간 소통에서 사실상 배제된 것에 대해 “드릴 말씀이 없다”며 말을 아꼈다.

김창범 한국경제인협회 부회장(앞줄 가운데)이 주요 기업 인사와 함께 11월 2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경제 재도약을 위한 주요 기업 사장단 긴급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이미지 확대보기
김창범 한국경제인협회 부회장(앞줄 가운데)이 주요 기업 인사와 함께 11월 2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경제 재도약을 위한 주요 기업 사장단 긴급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